학술논문
파시즘 시대 이탈리아의 초등학교 역사 교과서와 1차 세계 대전 서술
이용수 44
- 영문명
- The Presentation of the Great War in the Primary School textbooks in Fascist Italy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저자명
- 문준영(Jun Young M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학사학보』제48권, 493~52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파시스트 이탈리아 건설을 위해 새로운 이탈리아인의 육성을 목표로 한 무솔리니 정권은 공교육을 통해 파시즘의 시각에서 재해석한 역사 서술을 보급하고 민족국가 이탈리아의 공인된 역사관으로 정립하기를 원했다. 때마침 일각에서 제기된 기존 초등학교 교과서들의 부족한 질적 수준과 역사교육 커리큘럼에 대한 불만을 기회로 삼아, 파시즘 정권은 집권 초기부터 교과서 검인정 제도를 실시한다. 그러나 수년간의 검인정 제도와 교과서 심의위원회의 지속적인 심의 기준 변경에도 불구하고 무솔리니 정부는 대부분의 역사 교과서들에 끝내 만족하지 못했다. 파시스트들이 검인정 제도 하의 교과서에서 특히 불만을 가졌던 부분은 1차 세계 대전과 관련된 내용들이었는데, 결국 무솔리니 정부는 보다 직접적이고 확실한 파시즘의 역사관 교육을 위해 1930년 초등학교 교과서의 집필과 생산을 독점하게 된다. 본 논문은 파시스트 정권이 교과서 검인정 제도에서 국정화 정책으로 이행하게 된 결정적 동기를 살펴보고, 이어 1차 대전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국정 교과서가 이전 시대 교재들과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파시즘이 국민들에게 어떤 역사 인식을 교육하려 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Mussolini's regime, which aimed to cultivate 'new' Italians to fascistize Italy, had the goal to establish the Fascist interpretation of history as the nation's official historiography through public education. From the early years in power, it therefore tried to control history education at schools and introduced the state's examination and approval of textbooks. However, despite the Central Commission of the Textbook Examination's hard work for years and the frequent change of the examination criteria, most of the textbooks produced under the system failed to satisfy the Fascist regime. What the schoolbooks made the regime particularly disappointed was their view and narrative on the First World War. Thus Mussolini's government finally monopolized the production of textbooks for primary schools all over Italy from 1930 for more direct and concrete teaching of the Fascist view of history. This essay is a study to examine this Fascist state textbook: first, it looks into the regime's ultimate motivation to abandon the textbook exam and approval system and to decide the monopolization, and then it demonstrates what interpretation of history the Fascist regime taught Italian children by comparing and analyzing (how different and why) the narratives on World War I between the 1920s' schoolbooks and the Fascist state textbook, Libro unico di stato.
목차
Ⅰ. 머리말
Ⅱ. 파시스트 정권의 역사 교과서 통제
Ⅲ. 파시즘 시대 초등학교 국정 교과서와 1차 세계 대전 서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사학사학보 제48권 목차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역사철학
- 파시즘 시대 이탈리아의 초등학교 역사 교과서와 1차 세계 대전 서술
- 한국사 디지털 자료의 활용 현황과 과제
-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역사적 시간성에 관한 세 테제
- 『해동역사』의 비어인식 연구
- 인류세와 역사학의 미래
- 朴世采의 『東儒師友錄』 사본과 구성에 대한 검토
- 조선-대한제국기 정표제도의 변화와 소멸
- 식민지 관료 시노다 지사쿠(篠田治策)의 평남·평양 인식과 도정(道政) 입안(1910~1923)
- 樂浪郡 호구 목독의 사료적 성격과 郡의 주민구성
- 진보당의 특선조직과 비밀당원
- 『治平要覽』: ‘史外傳心’의 要典
- 임진왜란 참전 명 장수 기념비 건립의 지역적 의미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