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보당의 특선조직과 비밀당원
이용수 15
- 영문명
- Progressive Party Select and Secret Members and members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저자명
- 박진영(Jin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학사학보』제48권, 465~49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50년대 진보당의 조직의 확대와 강화에 관련된 특선조직과 비밀당원의 실체를 규명하고, 진보당의 특선조직 특히 ‘여명회’의 조직과 활동이 1960년대의 전개된 학생운동과의 관련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진보당은 대중조직의 확보와 당세를 확장하기 위하여 지역별, 직역별 활동을 중심으로 특별당부를 조직하고자 하였다. 여명회는 진보적인 학생과 ‘인적네트워크’로 각 대학의 학생들을 진보당에 점차적으로 접근하도록 하고자 하였다. 진보당의 비밀당원은 이승만 정권에 대한 정치적 저항으로 진보당에 입당하겠다는 사람들이었다. ‘진보당사건’ 이후 이승만 정권이 한 달만에 진보당을 해산한 것은 대중의 지지 즉 “당원 행세를 하는 사람 보다 속으로 당원 노릇을 하는 사람들”을 경계한 것은 물론 심리적 공포로 진보당 지지철회를 유도하려는 의도였다. ‘진보당사건’ 이후 진보당의 영향력은 끝났다고 생각되었지만 횡적연계인 ‘인적네트워크’로 1960년대 학생운동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s the special organizations, secret members, and entities involved in the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the Progressive Party's organization in the 1950s.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Progressive Party's special organization, especially the Yeomoung association, with the student movement developed in the 1960s. In order to secure popular organizations and expand the party's power, the Progressive Party attempted to organize a special party centered on activities by region and region. the Yeomoung association of the Progressive Party sought to bring students from each university gradually to the Progressive Party through a 'human network'. The secret members of the progressive party were those who would join the progressive party in political resistance to the Rhee Syng-man regime. The Rhee Syng-man regime's dissolution of the Progressive Party in a month after the “Progressive Party Incident” was intended to induce withdrawal of support from the Progressive Party through psychological fear as well as wary of secret members, or “people who act as party members.” After the Progressive Party case, the Progressive Party's influence was thought to have ended, but it was leading to the student movement in the 1960s due to the horizontal link, the “human network.”
목차
Ⅰ. 머리말
Ⅱ. 정치참여의 통로, 특선조직
Ⅲ. 비밀당원의 존재 이유와 양태
Ⅳ. 진보당과 학생운동의 관련성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사학사학보 제48권 목차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역사철학
- 파시즘 시대 이탈리아의 초등학교 역사 교과서와 1차 세계 대전 서술
- 한국사 디지털 자료의 활용 현황과 과제
-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역사적 시간성에 관한 세 테제
- 『해동역사』의 비어인식 연구
- 인류세와 역사학의 미래
- 朴世采의 『東儒師友錄』 사본과 구성에 대한 검토
- 조선-대한제국기 정표제도의 변화와 소멸
- 식민지 관료 시노다 지사쿠(篠田治策)의 평남·평양 인식과 도정(道政) 입안(1910~1923)
- 樂浪郡 호구 목독의 사료적 성격과 郡의 주민구성
- 진보당의 특선조직과 비밀당원
- 『治平要覽』: ‘史外傳心’의 要典
- 임진왜란 참전 명 장수 기념비 건립의 지역적 의미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