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治平要覽』: ‘史外傳心’의 要典
이용수 25
- 영문명
- The Abridged Version For Fair Governance: The Essential Text Over the Historical Record that Transmits the Confucius’s Mind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저자명
- 홍승태(Seung Tae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학사학보』제48권, 181~22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세종 시대의 역사유산 『치평요람』(1445)의 본질적 성격을 새롭게 조망해 보려는 시도에서 나왔다. 한글의 창제 및 반포의 시점과 거의 같은 시기에 편찬된 이 문헌은 중국 통사와 국사의 방대한 기록으로부터 ‘치평’의 요지를 추출한 정치 귀감서이다.
그동안 『치평요람』 연구의 가장 큰 쟁점은 편자의 의도적인 ‘紀年’ 생략의 이유와 목적에 있었다. 연호와 간지가 생략된 기록의 형식은 전통적인 사서의 체재에서 벗어나 있는데, 이는 역사적 인물의 언행 및 사건 발생의 시점보다 세종의 ‘현재’에 정치적 감계가 될 수 있는 ‘내용’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치평요람』에 수록된 기사의 내용이 주로 인물의 언행과 군신 간의 議政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도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세종과 집현전의 집필진은 유교 정치의 역사적 實例를 통해 역대 치란·흥망의 결정적 계기를 압축적으로 정리해 내고자 했다.
본고는 『치평요람』의 「箋文」에 등장하는 두 가지 단서를 근거로 기년 생략의 직접적인 원인을 밝히고 있다. 필자는 남송 趙善璙가 저술한 언행록 『自警編』과 胡安國이 말한 ‘史外傳心’의 요전인 『춘추』가 『치평요람』의 기년 생략과 문헌의 성격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상세하게 분석했다. 또한 세종이 언급한 ‘經體史用’의 개념과 원칙이 『치평요람』의 기사와 사론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경학과 사학의 관계를 통해 조망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 Abridged version for fair Governance”(治平要覽, 1445) 150-volume, which was compiled by scholars from Hall of Worthies in Se-jong of Chosun dynasty, is a book for looking at the rise and fall of past kingdoms in China and national history. King Se-jong wanted to acquire political lessons from past history of China and Korea, and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leave a core of Confucian politics to his descendants. This book has a characteristic that distinguishes it from the form of general historical books in that the ‘chronological records’ which specifies the Lunar calendar and the reign of the monarch, is intentionally omitted.
After completing the compilation of the book, Jung In-ji told Sejong, “This book is the Essential text over the historical record that transmits the Confucius’s mind.” This word originally came from A Commentary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written by Hu An-Guo in Song Dynasty.
This book is also like a political textbook or guide book provided for king's rule. and mainly adopted a principle that was reflected by Confucius's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 with a view of Confucianism. This thesis is a new perspective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ridged version for fair Governance” based on the above facts.
목차
Ⅰ. 머리말: 연구의 쟁점과 문제
Ⅱ. 紀年 생략과 『자경편』의 관계
Ⅲ. 胡安國의 『춘추』 사관과 사론의 영향
Ⅳ. 經體史用: 경학과 사학의 관계
Ⅴ. 맺음말: 향후의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사학사학보 제48권 목차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역사철학
- 파시즘 시대 이탈리아의 초등학교 역사 교과서와 1차 세계 대전 서술
- 한국사 디지털 자료의 활용 현황과 과제
-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역사적 시간성에 관한 세 테제
- 『해동역사』의 비어인식 연구
- 인류세와 역사학의 미래
- 朴世采의 『東儒師友錄』 사본과 구성에 대한 검토
- 조선-대한제국기 정표제도의 변화와 소멸
- 식민지 관료 시노다 지사쿠(篠田治策)의 평남·평양 인식과 도정(道政) 입안(1910~1923)
- 樂浪郡 호구 목독의 사료적 성격과 郡의 주민구성
- 진보당의 특선조직과 비밀당원
- 『治平要覽』: ‘史外傳心’의 要典
- 임진왜란 참전 명 장수 기념비 건립의 지역적 의미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