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임진왜란 참전 명 장수 기념비 건립의 지역적 의미 고찰

이용수 14

영문명
A Study on the a general of the Ming Dynasty Monument built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최명진(Myoung-jin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48권, 221~25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임진왜란에 참전한 명 장수를 기리는 기념비는 1597년부터 1600년까지 전국적으로 건립되었다. 그 시기는 정유재란으로 명나라 군대가 조선에 재참전했던 기간과 일치한다. 공주에 건립된 망일사은비, 위관임제비, 유격장 남공종덕비는 바로 이 시기 건립된 명 나라 장수 기념비 중 하나이다. 3기의 비석을 통칭하여 ‘공주 명국삼장비’라 부른다. 1599년(선조 32) 3월과 4월 연달아 공주 금강변에 건립되었다. 공주 명국삼장비가 주목되는 이유는 바로 건립 주체 때문이다. 약 20명에 가까운 당시 공주 지역사람들이 비석에 이름을 올리며 자신들의 존재를 남겼다. 비문 작성자 1~2명 만이 찬서자로 이름을 새긴 다른 지역 사례와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명국삼장비는 임진왜란과 관련된 기념물이란 단편적인 사실만 강조되었을 뿐, 진전된 연구가 없어 비석이 가진 중요성은 풍부하게 설명되지 못하고 있다. 조선시대 공주는 충청도의 행정적 군사적 거점 지역이자 지리적 요충지로서 임진왜란과도 인연이 깊다. 중봉 조헌은 공주에 제독관으로 부임한 경험을 바탕으로 공주 고마나루에서 의병을 모집하자 1600명이 운집했다. 광해군이 분조를 이끌고 약 8개월을 머물렀고, 군량 보급에 원활한 이점으로 인해 전쟁 기간 동안 명나라 군대가 여러 차례 주둔하였다. 이런 특수한 환경과 경험을 가진 공주 사람들의 주도하에 비석이 건립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참여자들의 면면과 관계망을 조망하면 지역적 측면의 특수성을 밝힐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명국삼장비에는 진사, 향관, 상생이라 일컬어지는 집단의 명칭으로 분류된 인물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이들의 면면을 살펴본 결과 공주 향안에 등재된 향관과 진사, 그리고 공주 향교에 출입한 유생들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지역 유력 사족인 향관의 주도로 비석 건립이 추진되었고, 지역 공론의 결집과 연합을 주도했던 상생과 진사가 동참하였던 정황이 파악된다. 그리고 인물 대부분 임진왜란과 관련된 직간접적인 활동상이 파악되었다. 향관은 공주에 주둔한 명나라 부대 뿐 아니라 관군들의 식량을 제공 해주는 등 경제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일부는 직접 의병에 참여한 행적도 확인되었다. 상생의 경우 자료의 한계로 모든 참여자의 현황이 파악된 것은 아니지만, 다수의 인물이 임진왜란 초기 의병 부대에서 활동하거나, 중봉 조헌과 함께 직접 전투에 참여한 행적 등을 보였다. 종합적으로 고찰한 결과 공주 명국삼장비는 표면적으로는 임진왜란 당시 인연을 맺은 명나라 장수의 고마움을 기억하려는 지역민의 의지가 반영된 기념비라 할 수 있지만 그 이면에서 공주 지역 내 일정한 지위와 위상, 영향력을 축적한 유력 인물들의 조성물이라는 상징성을 엿 볼 수 있었다. 아울러 임진왜란을 대표하는 역사적 기념물로만 읽혔던 공주 명국삼장비는 16세기 초 공주 지역의 단면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지역사적 자료임을 확인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focuses on the Gongju Myeongguk Sam three memorial stones, which was built to commemorate the general of the Ming Dynasty, which came as a volunteer during the general Invasion of Korea in 1592, from a regional ersective. A monument honoring a great general who participated in the Imjin War was built nationwide from 1597 to 1600. This period coincides with the time when the Japanese troops began to invade due to the general and the Ming troops withdrew. Mangilsaeunbi Monument, Wigwanimjebi Monument, and guerrilla leader Namgong Jongdeokbi Monument, built in Gongju, are one of the monuments to general in the Ming Dynasty built during this period. The three memorial stones are collectively called 'Princess Myeongguk Samgujang'. It was built in March and April of 1599 (the 30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along the Geumgang River in Gongju, and is now relocated to Gongsanseong Fortress. The reason why Gongju Myeongguk Three Equipment is drawing attention is because of the construction subject. Nearly 20 people from the Gongju area at the time were named on the monument, leaving their presence as they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monumen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from other local cases in which only the names of one or two inscription writers are engraved. Nevertheless, until now, Myeongguk Samgujang has only be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Jaejo-eun's idea related to the Imjin War and a symbolic monument commemorating historical events, but there has been no advanced research on the subject of the monument's construc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Gongju was an administrative and military stronghold in Chungcheong-do and a geographical location, and is also deeply related to the Imjin War. Based on his experience as an admiral in Gongju, 1,600 people gathered when he recruited volunteers from Goma Naru, Gongju. Gwanghaegun led the group and stayed for about eight months, and Ming troops were stationed several times during the war due to the smooth advantage of supplying military supplies. I think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specificity of the regional aspect by tracking the process of the monument being built under the leadership of Gongju people with such a special environment and experience and looking at the faces and networks of the participants. The names of the characters classified by the names of the groups called Jinsa, Hyanggwan, and Win-Win are engraved on the Myeongguk Samgujang. As a result of examining their face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the students of Hyanggwan, Jinsa, and Hyanggyo, which were registered in Gongju Hyangan.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a monument was promoted under the leadership of Hyanggwan, a leading local clan, and it is understood that win-win and Shinshi, who led the gathering and coalition of local public opinion, participated in this. In addition, most of the characters were identified as the Imjin War and direct and indirect activities. Hyanggwan did not spare economic support, such as providing food for not only Ming troops stationed in Gongju, but also government troops, and he also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himself. In the case of win-win, not all participants' records were identifi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ata, but some figures were identified as having worked in the righteous army in the early days of the Imjin War or participated in the battle with Jungbong Joheon, and a series of activities related to Joheon.

목차

Ⅰ. 머리말
Ⅱ. 공주 명국삼장비 건립 배경과 현황
Ⅲ. 공주 명국삼장비 건립 참여 인물 성격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명진(Myoung-jin Choi). (2023).임진왜란 참전 명 장수 기념비 건립의 지역적 의미 고찰. 한국사학사학보, (), 221-259

MLA

최명진(Myoung-jin Choi). "임진왜란 참전 명 장수 기념비 건립의 지역적 의미 고찰." 한국사학사학보, (2023): 221-2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