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의 초·중등 학교급 전환에 요구되는 교육지원요소 탐색

이용수 6

영문명
Exploring Educational Support Elements for School Transition (Elementary to Secondary School)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Concept Mapping Approach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이미지 김동일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4권 제3호, 95~12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의 초․중등 학교급 전환에요구되는 교육지원요소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22명의 초․중등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총 70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진술문을 바탕으로 총 40명의 초․중등 특수교사를 섭외하여 유사도 분류와 중요도 평정(5점척도)을 실시하였으며, 개념도 분석을 위해 컨셉 시스템 코어 4.0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초․중등 학교급 전환에 요구되는 교육지원 요소들은 총 70개로, 2차원(st=.219)상에 지원 대상(당사자, 관계자)과 지원 형태(상시지원, 선행지원)로 제시되어 총 8개의 범주로 군집화하였다. 각 범주는 1) 학교급 전환 전문성 강화 지원, 2) 협력체계 지원 3) 학부모지원, 4) 정서안정화 지원, 5) 독립성 지원, 6) 학습지원, 7) 사춘기 지원, 8) 입학초 적응 지원으로 명명되었다. 초․중등 특수교사의 인식에 바탕한 중요도는 전체 4.34로 높게 나타났으며, 범주별로 학부모 지원(4.58), 독립성 지원(4.48)이 가장 높은 편에, 정서 안정화지원(4.07), 학습지원(4.18)이 가장 낮은 편에 속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체 초․중등 학교급 교육지원요소에 대하여 초등특수교사(4.32)보다 중등특수교사(4.4)의 인식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패턴매치 그래프에서는 사춘기 지원, 협력체계 지원, 전문성 강화지원의 경우 초등특수교사가 중등특수교사보다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입학초 적응지원은 중등특수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존(Go-zone) 그래프를 통해 초등특수교사와 중등특수교사 간 인식 차이가 큰 요소와 낮은 요소들을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중등 발달장애 학생들의 학교급 전환기에 적용되는 교육 지원 프로그램개발 또는 학교급 간 연계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ements of educational support required for the transition to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2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terviewed, resulting in a total of 70 statements. Based on the derived statements, a total of 4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recruited, and similarity classification and importance evaluations (5 Likert scale) were conducted by them. Concept System Core 4.0 software was used for a concept mapping analysis. The derived educational support elements were presented in two dimensions (st=0.219) in terms of supporting subjects (students’ self - supporters) and support types (prerequisite -on-going support) and grouped into 8 clusters. The clusters were grouped as the following: 1) Support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a school transition, 2) Support for cooperation systems, 3) Support for parents, 4) Support for stabilizing emotions, 5) Support for independence, 6) Support for academic affairs, 7) Support for the adolescence period, and 8) Support for early adaptation to school.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 recognition was, overall, 4.34. The highest level of parent support (4.58) and independence support (4.48) was found in each cluster, with emotional stability support (4.07) and academic support (4.18) ranging in the lowest side. In additio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4.4) was higher than that of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4.32). In the Pattern matching graph, we found that in the case of support for the adolescence period, support for cooperation system and support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for a school transition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than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he Go-zone graph, the analysis results were divided into four zones, which distinguished the elements with a high recognition gap between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support programs applied to the transitional level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or improving the linkage efficiency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지,김동일. (2019).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의 초·중등 학교급 전환에 요구되는 교육지원요소 탐색. 특수교육학연구, 54 (3), 95-121

MLA

이미지,김동일.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의 초·중등 학교급 전환에 요구되는 교육지원요소 탐색." 특수교육학연구, 54.3(2019): 95-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