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인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연구
이용수 98
- 영문명
- Deriv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Career Guidanc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송창근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제27권 제3호, 165~18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학생이 학교를 졸업한 이후 진로 및 직업지도의 사각지대에 놓여지는
상황을 보완하기 위해 발달장애인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도출을 위한 뱡향성을 제시
하는 데 있다. 이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발달장애인 진로 및 직업지도와 관련 있는 전문
가 및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를 포함한 9인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발달장애인 진로지도 실태와 관련하여 인터뷰에 참여한 전문가 및 발달
장애인 부모 모두 발달장애인에 대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고, 필요성에 대해서
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발달장애인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도출을 위해
실시한 인터뷰 결과 발달장애에 대한 이해 프로그램, 발달장애 자녀를 위한 상담기초에 대한 프로그
램, 진로와 직업의 이해 및 진로선택을 위한 동기부여 상담 프로그램, 발달장애인 직업배치 및 적응
지원 프로그램이 도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areer guidanc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compensate for the blind spot of career and
vocational guidance after graduating from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with
9 people, including experts in career and career guidanc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arent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study, both experts who participated in interviews and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cognized the lack of career guidance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esponded positively to the need.
Next,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conducted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desire for career and career guidanc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ograms for understand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ograms for counseling basic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otivation for understanding jobs and choosing
careers It was investigated that grant counseling programs, job placemen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daptation support programs were need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활복지 제27권 제3호 목차
- 발달장애인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연구
- 중도중복장애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의 경험과 요구
-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립재활원의 장애인 운전재활 프로그램 운영 실태조사
- 고령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노화 경험과 고령화 대책으로써 직업의 의미: 장애 당사자와 가족 관점에서 근거 이론적 접근
- 중·고령장애인 대상 방문재활치료 시 작업치료사의 방문재활치료 경험과 역할수행평가 사용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작업기반 임상의 실천으로서 시간사용 중재가 뇌졸중 생존자의 생활참여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시유물 음성설명 구성요소와 규칙 연구
- 지체, 뇌병변 장애인의 보조기기 필요 요인 분석: 인간, 활동,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