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업기반 임상의 실천으로서 시간사용 중재가 뇌졸중 생존자의 생활참여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92
- 영문명
- Effects of Time-Use Intervention as Occupation-Based Practice on Occupational Participation for Stroke Survivor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심혜리 이선욱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제27권 제3호, 35~5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뇌졸중 생존자를 대상으로 시간사용 중재가 여섯 가지 생애참여 영향요인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순차표본 추출법으로 선정된 입원작업치료
서비스 이용자 3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비눈가림법 무작위 실험설계 연구로서, 작업
질문지와 캐나다 작업수행 평가 척도를 활용하여 시간사용 중재를 진행하였다. 인간작업
모델 선별평가 척도를 10주 연구기간 전후 두 집단에 시행하여, 효과를 비교측정 하였다.
치료 후, 실험집단의 인간작업 선별평가 총점과 패턴화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중재 전후측정 및 비교에서, 두 집단 모두 인간작업 선별평가
총점과 4개 하위영역(작업의지, 패턴화, 의사소통 및 상호관계 기술, 그리고 처리기술)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운동기술은 증가하지 않은 반면, 환경적 하위영역 점수는 시간사용
중재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작업치료는 입원으로 인해 붕괴된 일상생활
을 재구성하여 뇌졸중 생존자의 생활참여를 도모하는 다면적 접근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ime-use intervention on the six theoretical factors
influencing occupational participation for stroke survivors. A consecutive sample of 30 stroke survivors
receiving in-patient occupational therapy participated. As a non-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design,
a time-use intervention was intervened using the occupational questionnaire and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care group was made using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Screening Tool (MOHOST) to examine the effect at baseline and 10 weeks
posttest. After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nts increased total MOHOST scores
(p < .01) and habituation subscale (p < .05) more than did the comparison group. In before-and-after
intervention comparisons of each group, total MOHOST score and four subscales (i.e., volition,
habituation, communication/interaction skills, process skills) increased and motor skills did not
increase for both groups, whereas environment score improved only in the intervention group.
By restructuring daily life disrupted due to sudden hospitalization, the time-use intervention may
promote factors impacting stroke survivors' participation in lif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활복지 제27권 제3호 목차
- 발달장애인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연구
- 중도중복장애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의 경험과 요구
-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립재활원의 장애인 운전재활 프로그램 운영 실태조사
- 고령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노화 경험과 고령화 대책으로써 직업의 의미: 장애 당사자와 가족 관점에서 근거 이론적 접근
- 중·고령장애인 대상 방문재활치료 시 작업치료사의 방문재활치료 경험과 역할수행평가 사용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작업기반 임상의 실천으로서 시간사용 중재가 뇌졸중 생존자의 생활참여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시유물 음성설명 구성요소와 규칙 연구
- 지체, 뇌병변 장애인의 보조기기 필요 요인 분석: 인간, 활동,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