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시유물 음성설명 구성요소와 규칙 연구
이용수 71
- 영문명
- Audio Explanation Components and Rules of Exhibited Historic Artifacts for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육주혜 유소영 김하영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제27권 제3호, 19~3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의 문화예술 관람 지원을 위해 박물관의 전시유물 음성설명 구성요
소와 규칙을 도출 및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시유물 음성설명
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음성설명 초안을 작성하였다. 전문가 두 명의 검증을 거쳐
최종 음성설명문을 작성하였다. 작성한 음성설명에 대해 연구참여자 다섯 명을 대상으로 구성요소
별 음성설명에 대한 적절성 인식 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음성설명 구성요소 중 표준정보,
형태, 색감, 표현방식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다고 말하였다. 음성설명을 통한 전시유물의
더 높은 이해를 위해서는 실물 모형과 같은 촉각을 이용하는 방법이 필요하고 음성설명을 사용자에
게 익숙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추가로 언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박물관과
전시관에서 음성설명을 제작할 때 고려할 점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설명
구성요소와 규칙에 따라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음성설명 스크립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로그램 개
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analyze the audio explanation components
and rules of exhibited historic artifacts in museum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e components and rules of audio explanation
of exhibited historic artifact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were derived and the script
was written. The written audio explanation script was verified with two experts and modifi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verified script was evaluated by five participant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s.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s suggested
that the basic information, shape, color, expression method of the artifacts needed more
specific explanation. A method for setting the audio explanation in an individualized way
was additionally proposed. This study presented the components required and rules considered
when providing audio explanation of exhibited historic artifacts to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udio explanations and scripts for all artifacts in
museums for accessible appreciation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활복지 제27권 제3호 목차
- 발달장애인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연구
- 중도중복장애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의 경험과 요구
-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립재활원의 장애인 운전재활 프로그램 운영 실태조사
- 고령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노화 경험과 고령화 대책으로써 직업의 의미: 장애 당사자와 가족 관점에서 근거 이론적 접근
- 중·고령장애인 대상 방문재활치료 시 작업치료사의 방문재활치료 경험과 역할수행평가 사용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작업기반 임상의 실천으로서 시간사용 중재가 뇌졸중 생존자의 생활참여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시유물 음성설명 구성요소와 규칙 연구
- 지체, 뇌병변 장애인의 보조기기 필요 요인 분석: 인간, 활동,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