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체, 뇌병변 장애인의 보조기기 필요 요인 분석: 인간, 활동,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154
- 영문명
-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Assistive Technology Device Nee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Human, Activ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이성용 임명준 노은래 김동아 권효순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제27권 제3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 보조를 위한 보조기기(Assistive Technology Device)는 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적용이 중요하다. 이에 보조기기서비스 제공 시 Human (사람), Activity (활동), Assistive Technology (보
조기술), Environment (환경) 의 4가지 기본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대표적인 방법이다 (HAAT model,
cook & Hussey, 2002).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체, 뇌병변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보조기기 수요와 보조기
기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HAAT model 및 장애인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장애
인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현재 가지고 있거나 필요하다고 응답한 보조기기 수요 중 상위 5개 보조기
기를 추출하고, Human, Activity, Environment 요인 중 상위 5개 보조기기의 필요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지체, 뇌병변 장애인이 가장 필요
로 하는 상위 5개 보조기기는 지팡이, 안전손잡이, 전동스쿠터, 전동휠체어, 주택개조 순으로 도출되었으
며 보조기기의 필요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장애등급, 대중교통 이용 여부가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대부분 이동과 움직임 (Mobility and Movement)과 관련된 일상생활활동과 환
경에서 보조기기를 필요로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장애인 실태조사의 보조기기 필요
여부에 대한 조사 시 보조기기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어 분석 결과의 일반화
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보조기기 선
택 및 서비스 적용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TD) for assis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ir daily activities. A representative method
is to consider the four basic elements of Human, Activity,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nd Environment when providing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HAAT model, Cook &
Hussey, 2002).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ATDs required by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were analyzed by applying to the HAAT model. The top five ATDs
with high need were extracted,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eed for the top five ATDs
among people,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op 5 ATDs most needed by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are cane, safety handle, powered wheelchair, electric scooter, and home modifi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y mostly require ATD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lated to mobility and movement. Age, disability grade, and whether
or not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were analyzed as factors tha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need for ATD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fficient
information on ATDs may not be provided when conducting a fact-finding survey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Neverthel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appropriate ATDs considering factors such as disability type, living environment,
and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pplication
of assistive devic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활복지 제27권 제3호 목차
- 발달장애인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연구
- 중도중복장애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의 경험과 요구
-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립재활원의 장애인 운전재활 프로그램 운영 실태조사
- 고령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노화 경험과 고령화 대책으로써 직업의 의미: 장애 당사자와 가족 관점에서 근거 이론적 접근
- 중·고령장애인 대상 방문재활치료 시 작업치료사의 방문재활치료 경험과 역할수행평가 사용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작업기반 임상의 실천으로서 시간사용 중재가 뇌졸중 생존자의 생활참여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시유물 음성설명 구성요소와 규칙 연구
- 지체, 뇌병변 장애인의 보조기기 필요 요인 분석: 인간, 활동,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