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도중복장애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의 경험과 요구
이용수 211
- 영문명
- Experiences and Need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eachers Regarding Selec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장효미 전병운 박선화 이원경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제27권 제3호, 135~16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시행령의 일부 개정으로, 중도중복장애 특수
교육대상자 기준이 마련됨에 따라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중도중복장애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 실
태 및 진단·평가 관련 특수교사의 지원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중도중복장애 특수교육대상자로 의뢰된 학생에 대해 진단·평가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
로 개별 면담한 후 지속적 비교법으로 면담 전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도중복장애 진단·
평가 관련 특수교사의 인식과 경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평가 과정 및 실태, 중도중복장애 진단·
평가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 그에 따른 지원 요구 등을 4개의 범주와 9개의 하위 범주, 19개의 의미
단위로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중도중복장애 선정기준에 대한 법적 기준의 모호함과 이에 대한 교
사의 인식 부족 및 지침의 미비함으로 진단·평가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중도중복
장애 선정에 관한 현실적인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요구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what systematic suppor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mand with reference to evaluation, diagnosis, and selec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s well as the actual administration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t has been due to the partial revision of Enforcement Decree of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tc., and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an additional
clause to include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s one of the criteria for Article 15 of
the Act.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conducting individual
interviews of f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in administering assessments
and evaluation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order to determine their
special educational needs. The transcribed data of the interviews were then analyzed with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were categorized into 4 categories,
9 subcategories, and 19 semantic units, the 4 categories being 1) awareness and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relation to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2) the process
and actual administration of evaluation and diagnosis of the disabilities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3) challenges in evaluation and diagnosi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4) systematic support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mand to overcome the challenges. In conclusion,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and diagnosi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al with various challenges such
as ambiguity of legal requirements for diagnosis and selection, lack of awareness in teachers
about the legal selection criteria for the students, and the absence of clear guidelines. Therefore,
they strongly dem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that are more practica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활복지 제27권 제3호 목차
- 발달장애인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연구
- 중도중복장애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의 경험과 요구
-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립재활원의 장애인 운전재활 프로그램 운영 실태조사
- 고령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노화 경험과 고령화 대책으로써 직업의 의미: 장애 당사자와 가족 관점에서 근거 이론적 접근
- 중·고령장애인 대상 방문재활치료 시 작업치료사의 방문재활치료 경험과 역할수행평가 사용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작업기반 임상의 실천으로서 시간사용 중재가 뇌졸중 생존자의 생활참여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시유물 음성설명 구성요소와 규칙 연구
- 지체, 뇌병변 장애인의 보조기기 필요 요인 분석: 인간, 활동,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