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령장애인 대상 방문재활치료 시 작업치료사의 방문재활치료 경험과 역할수행평가 사용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152
- 영문명
- Phenomenological Study on Occupational Therapists' Experiences and Use of Role Performance Measure in Home Rehabilitation Therap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최준수 정민예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제27권 제3호, 59~8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중·고령장애인 대상으로 진행하는 방문재활치료 경험과 역할수행평가 사
용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경험을 분석하여 방문재활 치료 환경
에 대한 경험과 역할수행평가가 방문재활치료 현장에서 어떤 의미로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6명의 방문재활치료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역할수행평가 사용 방법
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 후, 중·고령장애인 및 보호자에게 역할수행평가를 시행한 작업치료사의 경험을
개방형 질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에서 지오르지의 방법을 사용하
였다. 분석 결과, 인터뷰 내용을 통해 방문재활치료 경험, 역할수행평가의 장점, 기존 역할수행평가의
개선점 등 3개의 구성요소와 6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역할수행평가는 방문재활치료 시 라
포 형성, 목표 설정, 탑다운 접근 등 필요한 사항을 도움으로 제공하였으며, 매뉴얼화를 통한 용어 재
선정과 대상자 선정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방문재활 작업치료 시 역할수행평가
는 작업치료사가 중·고령장애인에게 중재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을 받았으며, 대상
자의 목표 설정 및 동기부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henomenological study explores occupational therapists' experiences providing
home-based rehabilitation therapy to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use of role performance measure.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rapists' experiences
and examine the application of role performance measure in home-based rehabilitation therapy.
Six therapists providing home-based rehabilitation therapy participated, sharing their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through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revealing three components: home-based rehabilitation therapy experiences,
benefits of role performance measure, and areas for improvement. Role performance measure
was found to aid in form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setting goals, and employing a top-down
approach.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cluded manualizing the assessment process and
refining participant selection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that role performance measure
can be a valuable tool for occupational therapists, facilitating interventions and motivation
during home-based rehabilitation therapy for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활복지 제27권 제3호 목차
- 발달장애인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연구
- 중도중복장애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의 경험과 요구
-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립재활원의 장애인 운전재활 프로그램 운영 실태조사
- 고령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노화 경험과 고령화 대책으로써 직업의 의미: 장애 당사자와 가족 관점에서 근거 이론적 접근
- 중·고령장애인 대상 방문재활치료 시 작업치료사의 방문재활치료 경험과 역할수행평가 사용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작업기반 임상의 실천으로서 시간사용 중재가 뇌졸중 생존자의 생활참여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시유물 음성설명 구성요소와 규칙 연구
- 지체, 뇌병변 장애인의 보조기기 필요 요인 분석: 인간, 활동,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