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철도특별사법경찰제도에 관한 법리적 쟁점과 논평
이용수 157
- 영문명
- Legal Issues and Comments on the Railway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정세종 박재풍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2권 3호, 405~43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철도특별사법경찰제도에 관해서 ① 명칭의 적정성, ② 위험방지를 위해서 명령·강제권을 발동할 수 있을지 여부, ③ 일반경찰과의 관할 경합, ④ 법률유보 원칙의 침해 여부를 각각 연구 문제로 도출하고 이에 대한 논평과 정책적 제언을 위해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서 철도경찰의 법적 권한에 대해서 조직법령, 행정경찰법령, 사법경찰법령, 행정규칙 순으로 검토하고, 영국, 프랑스, 미국, 독일의 사례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요 선진 국가의 철도경찰은 업무의 효율성과 합법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관할구역 내에서 위험방지를 위한 행정경찰권과 범죄수사를 담당하는 사법경찰권 모두를 부여받고 이를 합법적으로 행사하며, 보안요원들이 관할구역 내에서 정규 철도경찰관들의 업무수행을 돕고 있었다.
현행 철도특별사법경찰제도의 법리적 문제점으로 첫째, 철도경찰은 행정경찰작용으로 볼 수 있는 ① 불심검문, ② 보호조치, ③ 위험 발생의 방지 조치, ④ 범죄의 예방과 제지, ⑤ 위험 방지를 위한 출입, ⑥ 사실의 확인, ⑦ 정보의 수집, ⑧ 장비사용 등의 합법적 권한을 부여받지 못했고, 둘째, 「철도사법경찰관 직무집행 규정」은 행정규칙에 불과하기 때문에 위 규정에 따른 테러 예방(제4조 제3호), 가출인 보호(제4조 제7호), 특별동차 등 운행에 따른 경비(제4조 제8호) 등의 활동 또한 위법성 시비에서 자유롭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철도특별사법경찰관리는 그 관할구역내에서 질서유지와 위해방지를 위해서 「경찰관 직무집행법」에 따른 경찰관의 직무를 수행한다.”는 취지로 「철도안전법」을 개정하고, 둘째, 「철도사법경찰관 직무집행 규정」을 법규명령 수준으로 격상시키며, 셋째, 일반경찰과 합리적으로 사물관할 및 지역관할을 조정하고, 넷째, 프랑스 SNCF, 미국 암트랙 경찰, 독일 DB 보안업체 및 우리나라의 항공운송사업자의 사례를 벤치마크하여 철도사업자에게 보안요원 운용 의무를 부과하며, 다섯째, 국토교통부 철도국 내 철도경찰과를 신설하여 철도경찰행정에 관한 전문성, 즉응성, 일관성, 효율성을 확보하여야 한다는 점을 각각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as designed to derive legal issues on the railway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present comments on them, and ultimately promote policy suggestions.
The main issues can be summarized as the appropriateness of the name, the basis for the exercise of administrative police authority, competition under the jurisdiction of general police officers, and compliance with the principle of legal reservation.
The legal authority of the railway police was reviewed in the order of organizational laws, administrative police laws, judicial police laws, and administrative rules. And we looked at the cases of Britain, France,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and drew implications.
Railway police in developed countries were given both administrative police power and judicial police power within their jurisdiction, and security guards were helping regular railway police officers.
The legal problems of the current railway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are the railway police do not have a legal basis for exercising administrative police power and the Regulations on the Execution of Duties of Railway Judicial Police Officers are only administrative rules.
In this paper, five issues were derived and the following comments were developed.
First, the Railway Safety Act should be revised so that railway police can exercise their administrative police rights.
Second, it is necessary to upgrade the Regulations on the Execution of Duties of Railway Judicial Police Officers to the level of legal orders.
Third, There is a great need to reasonably coordinate object jurisdiction and regional jurisdiction with the general police.
Fourth, railroad operators should be obligated to operate security personnel.
Fifth, it is desirable to reorganize the organization of the Railway Bureau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연구의 이론적 토대
Ⅲ. 논평
Ⅳ. 정책적 제언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동주택 경비와 경비업법 적용에 관한 재검토
- 스토킹처벌법 정부(법무부) 개정안 통과에 따른 쟁점 연구
- 오송참사의 조사 및 수사과정 고찰
- 철도특별사법경찰제도에 관한 법리적 쟁점과 논평
- 시민들의 CPTED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무질서 인식의 매개효과
- 국가·지방자치단체·감독자의 직접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연구
-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인권교육경험이 장애아동 인권침해·차별 피해에 미치는 영향
- GTD를 활용한 군(軍) 대상 테러 발생 현황 및 유형 분석 연구
- 경찰법상 위험방지를 위한 출석명령
- 북한 치안체제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 일선 경찰관의 민주적 법집행의지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 한국과 영국 정보기관의 조직체계와 직무에 관한 연구
- 증거의 증명력 판단에 대한 미디어 효과 연구
- 셉테드의 보완적 수단으로서 순찰 로봇
- 마약범죄의 형사법적 대응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