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민들의 CPTED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무질서 인식의 매개효과

이용수 36

영문명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ople’s Perception of Disor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CPTED and Fear of Crime: A Multi-Group Analysis by Gender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전준하 최응렬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2권 3호, 373~40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 중인 539명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CPTED 요소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무질서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CPTED 인식의 개념을 영역성, 감시, 활동지원으로 조작화하고 해당 변수들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효과를 개별적으로 검증했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범죄두려움의 차이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범죄두려움에 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된 남성과 여성이라는 두 집단에 대한 다집단 분석을 통해 CPTED 인식, 무질서 인식 그리고 범죄두려움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검증했다. 분석결과 첫째, 남성 집단에서 활동지원이 무질서 인식을 완전 매개하여 일반적 범죄두려움 및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감소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했다. 또한 여성 집단에서 활동지원과 일반적 범죄두려움의 관계를 무질서 인식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집단에서 감시와 일반적 범죄두려움 및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무질서 인식의 부분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됐다. 셋째, 남성 집단에서 영역성이 일반적 범죄두려움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했고, 여성 집단에서 영역성이 무질서 인식을 완전 매개하여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감소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했다. 이처럼 이 연구에서는 표본을 성별이라는 기준으로 구분하여 CPTED 인식, 무질서 인식 그리고 범죄두려움의 관계를 세부적이고 정확하게 검증했고, 이를 기반으로 CPTED 정책에 대한 활성화가 시민들의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경험적 근거를 제시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현재 다양한 방향으로 활용되고 있는 CPTED 사업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isorder perce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perception of CPTED and fear of crime in 539 citizens living in Seoul.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e concept about perception of CPTED was operationalized into territoriality, surveillance, and activity support, and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on crime fear was individually verified. An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ifferences in fear of crime according to ge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CPTED, disorder perception, and fear of crime was more clearly verified through multi-group analysis of two groups, men and women. First, in the case of men, activity support completely mediated perception of disorder,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redicting reduction in general and specific fear of cri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women, it was found that perception of disorder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support and general fear of crime. Second, in the case of wome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disorder has been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veillance and general, specific fear of crime. Third, in the case of women, territoriality completely mediated perception of disorder,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xplaining the reduction in specific fear of crime.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PTED perception, disorder perception, and fear of crime was verified in detail and accurately by dividing the sample based on gender. Also based on the results, empirical evidence was presented that activation of CPTED policies could reduce fear of crime among citizens.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policy suggestions for the CPTED project, which is currently being used in various directions, based on these ground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준하,최응렬. (2023).시민들의 CPTED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무질서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2 (3), 373-404

MLA

전준하,최응렬. "시민들의 CPTED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무질서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2.3(2023): 373-4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