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이용수 107
- 영문명
- A Study on the Factor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Adolescence: An Application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주실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2권 3호, 307~34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심화시키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밝히는 데 있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그들의 부정적인 정서 형성뿐만 아니라 온·오프라인비행과도 깊은 관련이 있기에 이에 대한 예방은 매우 중요하다. 스마트폰 과의존 결정요인들을 밝힌 선행연구들이 많이 있으나 구체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영향 관계를 예측하기보다는 다른 연구들에서 얻은 분석결과를 경험적 근거로 삼아 관련 요인 간 연관성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자기결정성의 하위 요인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결정요인과 스마트폰과의존 간 영향에 있어서 삶의 만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Baron & Kenny의 3단계 분석방법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기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남녀학생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자율성이 일상생활 문제발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서 삶의 만족도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으며 자기조절 어려움에 대해서는 자율성의 직접효과가 있었다. 이어서 유능성은 여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양상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삶의 만족도의 완전매개를 통해 남학생의 자기조절 어려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계성은 남녀학생 집단 모두에서 스마트폰 과의존 양상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may influence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Korean adolescents. It has been known that smartphone overdepend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leading to their on-offline delinquenc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examining the determinant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Yet, previous research tends to employ empirical evidence offered by other scholars, rather than taking a theoretical approach. Supplementing the limitation of existing literature, the current study employs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ccording to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here are three types of self-determinants (i.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at may influence individuals’ smartphone overdependenc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was tested by the original Baron and Kenny method. Furthermore, the bootstrap method is used to handle the problems with the Baron and Kenny approach. The study results show that autonomy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ducing both female and male smartphone overdependence, throug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Meanwhile, the effect of competence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female students but for male students. Finally, there is no impact of relatedness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adolesc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동주택 경비와 경비업법 적용에 관한 재검토
- 스토킹처벌법 정부(법무부) 개정안 통과에 따른 쟁점 연구
- 오송참사의 조사 및 수사과정 고찰
- 철도특별사법경찰제도에 관한 법리적 쟁점과 논평
- 시민들의 CPTED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무질서 인식의 매개효과
- 국가·지방자치단체·감독자의 직접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연구
-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인권교육경험이 장애아동 인권침해·차별 피해에 미치는 영향
- GTD를 활용한 군(軍) 대상 테러 발생 현황 및 유형 분석 연구
- 경찰법상 위험방지를 위한 출석명령
- 북한 치안체제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 일선 경찰관의 민주적 법집행의지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 한국과 영국 정보기관의 조직체계와 직무에 관한 연구
- 증거의 증명력 판단에 대한 미디어 효과 연구
- 셉테드의 보완적 수단으로서 순찰 로봇
- 마약범죄의 형사법적 대응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