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셉테드의 보완적 수단으로서 순찰 로봇
이용수 72
- 영문명
- Surveillance robot as a supplementary tool for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Using Q methodology for analyzing of perceptions of police officers in Busan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나은 정혜진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2권 3호, 31~6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4차 산업혁명 시대에 AI 관련 기술이 개발되면서 로봇을 셉테드의 활용 방안으로 제시하는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순찰 로봇에 대한 경찰 공무원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부산광역시의 생활안전계 경찰 공무원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수행하였다. 해당 지역은 최근 순찰 로봇의 시범 운영을 위한 폴리스랩이 시행 중이기 때문에, 순찰 로봇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 용이하다. 셉테드의 이론을 토대로 6개 영역 25가지 진술문을 구성하였다. Q 방법론 연구를 위해 고안된 PQMethod 2.3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4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각 유형에 분류된 응답자들의 진술문과 의견을 제시하였다. 1유형은 자연감시 및 접근 통제형, 2유형은 활용성 및 유지관리형, 3유형은 지속가능형, 4유형은 자연감시 및 활용성으로 분류되었다. 무인순찰 로봇을 셉테드의 대안으로 활용할 경우, 각 유형별로 일치하는 항목은 가시권 확대, 반사회적 행태에 대한 통제 가능성, 로봇에 대한 시민들의 흥미와 관심 등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셉테드 관점에서 무인순찰 로봇의 활용 가능성과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ies, surveillance robots are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CPTED. However,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police officers regarding surveillance robots is scarce. To fill the gap, the current study employed the Q methodology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police officers in the Busan Metropolitan, where a pilot operation for security robots has been implemented. Based on the CPTED theory, we drew a set of 25 statements across six domains. Utilizing the PQMethod 2.35 program designed for Q methodology research, the analysis classified four distinct types: Type 1 demonstrated natural surveillance and access control; Type 2 highlighted usability and maintenance; Type 3 emphasized sustainability; and Type 4 underlined natural surveillance and usability. The consensus statement included three conditions such as expanded visibility, controlling antisocial behavior, and citizens' interest and engagement with robot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that coul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urveillance robo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동주택 경비와 경비업법 적용에 관한 재검토
- 스토킹처벌법 정부(법무부) 개정안 통과에 따른 쟁점 연구
- 오송참사의 조사 및 수사과정 고찰
- 철도특별사법경찰제도에 관한 법리적 쟁점과 논평
- 시민들의 CPTED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무질서 인식의 매개효과
- 국가·지방자치단체·감독자의 직접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연구
-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인권교육경험이 장애아동 인권침해·차별 피해에 미치는 영향
- GTD를 활용한 군(軍) 대상 테러 발생 현황 및 유형 분석 연구
- 경찰법상 위험방지를 위한 출석명령
- 북한 치안체제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 일선 경찰관의 민주적 법집행의지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 한국과 영국 정보기관의 조직체계와 직무에 관한 연구
- 증거의 증명력 판단에 대한 미디어 효과 연구
- 셉테드의 보완적 수단으로서 순찰 로봇
- 마약범죄의 형사법적 대응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