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동주택 경비와 경비업법 적용에 관한 재검토
이용수 69
- 영문명
- Reconsidera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to the Security Guard of Multi-family Housing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서진석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2권 3호, 201~2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공동주택 ‘경비원’은 관리업무로서 청소·소독, 쓰레기 수거, 주차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에도 좁은 경비실, 전 근대적 격일제 근무, 임금인상의 회피 목적의 과도한 휴게시간 배정, 일상화된 단기계약에 의한 고용의 불안정, 감시단속적 근로 적용에 따른 근로 상 불이익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할관청은 이러한 경비원의 근로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경비업법」 제15조의 2를 신설, 경비업무의 범위를 벗어난 행위를 시킬 수 없도록 규정하였으나, 경비원과 입주민 및 관리주체 간 갈등을 야기하게 되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그 해결방안으로 「공동주택관리법」 제65조의 2 제1항을 신설,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공동주택 관리에 필요한 업무에 경비원을 종사하게 할 수 있게 하고, 같은 법 시행령 제69조의 2는 공동주택 관리에 필요한 업무로서 청소와 이에 준하는 미화의 보조, 재활용 가능 자원의 분리배출 감시 및 정리, 안내문의 게시와 우편 수취함 투입 업무 및 공동주택에서의 도난, 화재, 그 밖의 혼잡 등으로 인한 위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범위에서 주차관리와 택배 물품 보관업무를 규정하였다.
그러나 「공동주택관리법」상 경비원과, 「경비업법」상 경비원은 업무내용에서 차이를 보이며, 업무수행 방법에 있어서도 고용 구조, 고용 형태, 고용 조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법률의 관계에 있어서도 「공동주택관리법」과 「경비업법」은 별개의 법률로 해석하여야 하고 공동주택관리를 위한 경비원의 경비업무에 「경비업법」을 정면으로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이에 연구자는 본고를 통하여 이미 제안된 공동주택 경비원의 업무에 대한 개선방안을 재검토하고 「공동주택관리법」개정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lthough Multi-family Housing 'security guards' perform a variety of tasks such as cleaning and disinfection, garbage collection, and parking management as management tasks, they are limited to narrow security rooms, pre-modern working every other day, excessive break time allocation to avoid wage increases, and routine short-term contracts. They face a variety of problems, including employment instability and labor disadvantages due to the application of intermittent monitor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mpetent authority newly established Article 15-2 of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se security guards and stipulated that they cannot be allowed to engage in activities beyond the scope of security work. However, conflicts between security guards, residents, and management entities caused.
Accordingly, as a solutio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stablished Article 65-2, Paragraph 1 of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allowing security guards to engage in tasks necessary for managing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within the scope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And article 69-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includes tasks necessary for managing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such as assistance with cleaning and similar beautification, monitoring and organizing the separate discharge of recyclable resources, posting notices and putting mail in mailboxes, and tasks such as theft, fire, and theft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Parking management and storage of delivery items were stipulated to the extent of preventing risks.
However, security guards under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and security guards under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show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ir work, and also show differences in their work performance methods in terms of employment structure, employment type, and employment conditions. Also, in relation to laws,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and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must be interpreted as separate laws, and it is not appropriate to directly apply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to the security work of security guards for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cordingly, through this paper, the researcher reexamined the already proposed improvement plan for the work of Multi-family Housing security guards and proposed an amendment to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목차
Ⅰ. 서 설
Ⅱ. 경비원의 업무에 관한 법령 및 법령의 비교
Ⅲ. 공동주택경비원의 경비업법 적용의 검토
Ⅳ. 공동주택경비원 업무의 개선방안
Ⅴ. 결 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동주택 경비와 경비업법 적용에 관한 재검토
- 스토킹처벌법 정부(법무부) 개정안 통과에 따른 쟁점 연구
- 오송참사의 조사 및 수사과정 고찰
- 철도특별사법경찰제도에 관한 법리적 쟁점과 논평
- 시민들의 CPTED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에서 무질서 인식의 매개효과
- 국가·지방자치단체·감독자의 직접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연구
-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인권교육경험이 장애아동 인권침해·차별 피해에 미치는 영향
- GTD를 활용한 군(軍) 대상 테러 발생 현황 및 유형 분석 연구
- 경찰법상 위험방지를 위한 출석명령
- 북한 치안체제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 일선 경찰관의 민주적 법집행의지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 한국과 영국 정보기관의 조직체계와 직무에 관한 연구
- 증거의 증명력 판단에 대한 미디어 효과 연구
- 셉테드의 보완적 수단으로서 순찰 로봇
- 마약범죄의 형사법적 대응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