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중증근무력증의 안과적 임상 양상
이용수 3
- 영문명
- Ophthalmologic Manifestations of Ocular Myasthenia Gravi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서용훈 양원진 오신엽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10, 957~96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안중증근무력증 환자의 안과적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1년 1월부터 2022년 8월까지 본원 안과 및 신경과에 내원하여 안중증근무력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6개월 이상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58명을 대상으로 안과적 임상 양상 및 경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58명의 환자에서 발병 시 평균 연령은 55.52 ± 15.60세로 남성 29명, 여성 29명이었다. 항아세틸콜린수용체항체검사에서양성 31명으로 양성률은 53.45%였고, 반복신경자극검사는 양성 19명, 음성 38명으로 33.33%에서 이상을 보였다. 항체 양성군에서전신근무력증으로 더 많이 진행하였으며(p=0.011), 더 많은 흉부 이상 소견을 보였다(p<0.001). 복시와 안검하수가 동반된 복합군에서수평, 수직복시가 모두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p<0.001), 사시의 양상이 복시 증상 단일군에서는 내사시, 복합군에서는 외사시가 가장많아 차이가 있었다(p=0.029). 또한 증상 복합군에서 항체 농도가 높게 측정되었으며(p=0.034), 반복신경자극검사에서 이상 소견을보이는 경우가 많았고(p=0.022) 더 많은 흉부 이상 소견을 보였다(p=0.022).
결론: 안중증근무력증 환자에서 항아세틸콜린수용체항체 양성군에서 전신 중증근무력증으로 진행한 경우가 많았고, 복시와 안검하수가 동반된 복합군에서 항아세틸콜린수용체항체 농도가 높았으며, 수평사시와 수직사시가 함께 동반되는 경우가 많았다.
영문 초록
Purpose: We investigated the ophthalmic manifestations observed in patients diagnosed with ocular myasthenia gravis.
Methods: In total, 58 patients diagnosed with ocular myasthenia gravis visited the ophthalmology and neurology departments between January 2011 and August 2022. Patients were followed for > 6 months; their ophthalmic manifestation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study included 29 males and 29 females with a mean age of 55.52 ± 15.60 years. Among the patients, 31 tested positive for anti-acetylcholine receptor antibodies, resulting in a positive rate of 53.45%. Abnormalities in repeated nerve stimulation tests were observed in 33.33% of the patients. The antibody-positive group exhibited a higher frequency of progression to generalized myasthenia gravis (p = 0.011) and a higher incidence of chest abnormalities (p < 0.001) compared to the antibody- negative group. Horizontal and vertical diplopia were commonly observed in a complex group of patients with diplopia and blepharoptosis (p < 0.001);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strabismus between the diplopia single group with esotropia and the complex group with exotropia (p = 0.029). In addition, the combination group demonstrated a higher antibody titer (p = 0.034), a higher frequency of abnormalities in repeated nerve stimulation tests (p = 0.022), and a higher incidence of chest abnormalities (p = 0.022).
Conclusions: The anti-acetylcholine receptor antibody-positive group had a higher incidence of progression to generalized myasthenia gravis; moreover, the complex group of patients with diplopia and ptosis exhibited elevated levels of anti-acetylcholine receptor antibodies and frequently accompanied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strabismu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백신 접종 후 발생한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병 1예
- 장기적 경구 스테로이드 복용이 녹내장 및 고안압증에 미치는 영향
- 편두통이 있는 소아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분석
-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에서 선택적 EP2 수용체 작용제로 변경 후 상안검 고랑 깊은 패임 회복
- 후방유수정체 안내렌즈삽입술 이후 발생한 황반원공에서 내경계막삽입술
- 목시플록사신 0.5% 점안약에 의한 알레르기반응 1예
- 안중증근무력증의 안과적 임상 양상
- 한국인에서 오미데네팍 이소프로필 0.002% 점안액의 안전성 및 효용성 분석
- 개방각녹내장에서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의 단기적 효과, 안정성 및 안구 혈류 변화
-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서 포도막염의 임상 양상과 위험인자에 대한 설문 조사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 치료제의 건강보험 적용 확대 및 다양화에 따른 치료 경향 분석
-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주사 치료 후 시력 및 중심황반두께와 맥락막혈관지수 관련성 분석
- 유리체절제술 중 광각안저관찰렌즈에 발생하는 김서림 예방 방법의 비교
- COVID-19 대유행이 아트로핀 점안 소아 환자의 근시 진행 속도에 미치는 영향
- 양안 백내장 동시 수술과 순차적 양안 백내장수술의 효용성 및 안전성 비교
- 코눈물관협착 환자의 실리콘관삽입술 전 진통제 및 진정제 복용이 통증에 미치는 영향
- 안와와 안와사이막앞연조직염을 동반한 안구감염의 임상 양상 및 예후인자 분석
- 성형안과 질환과 눈물막 내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 9와의 연관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