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리체절제술 중 광각안저관찰렌즈에 발생하는 김서림 예방 방법의 비교
이용수 6
- 영문명
- Comparison of Methods Used to Prevent Fogging of a Non-contact Wide-field Viewing System during Vitrectom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서명호 하아늘 이혜진 정진호 남기태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10, 899~903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유리체절제술 중 광각안저관찰렌즈에 발생하는 김서림을 예방하기 위해 warm saline과 anti-fog solution을 이용한 방법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섭씨 36℃, 5 L의 물을 용기에 담고 광각안저관찰렌즈에 발생하는 김서림 영역을 현미경 영상으로 획득하였다. 렌즈를1분간 25℃의 sailne에 담근 군(control), 50℃의 sailne에 담근 군(warm saline), 25℃의 sailne에 담근 후 anti-fog solution을 도포한군(anti-fog)으로 나누었으며 각각 10초, 1분, 3분, 5분의 김서림 영역(%)과 렌즈 중심 영역 침범 유무를 확인하였다. 각 10회의 실험을반복하였다.
결과: Control군은 모든 실험 동안 100% 김서림 영역이 확인되었다. 10초, 1분, 3분, 5분의 평균 김서림 영역은 warm saline군이 4.34 ± 1.28%, 6.30 ± 1.38%, 56.00 ± 25.01%, 93.81 ± 5.88%, anti-fog군이 4.74 ± 0.57%, 7.35 ± 0.96%, 10.13 ± 1.09%, 11.74 ± 1.74%였고, 3분과 5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9, p=0.012). Warm saline군은 3분과 5분 경과 후 각각 8예, 10예의 렌즈중심 영역 침범이 있었으며 anti-fog군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Anti-fog solution을 광각안저관찰렌즈에 도포하는 방법은 유리체절제술 중 발생하는 김서림을 예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warm saline and anti-fog solution for preventing fogging of a non-contact wide-field viewing system during vitrectomy.
Methods: Five liters of water at 36°C were placed in a transparent container. The fogging areas of wide-field lenses were microscopically measured. We created three groups: lenses soaked in normal saline at 25°C for 1 minute (control), lenses soaked in normal saline at 50°C for 1 minute (warm saline), and lenses that were wiped with a sponge soaked in anti-fog solution (ULTRASTOP pro med. Solution, Sigmapharm, Vienna, Austria) after prior soaking in normal saline at 25°C for 1 minute (anti-fog). Images of fogged areas were acquired at 10 seconds and 1, 3, and 5 minutes. Extent of fogged areas and central lens invasion were determined. All experiments were repeated 10 times.
Results: In the control group, the entire areas were always completely fogged. The average fog coverage values were 4.34 ± 1.28, 6.30 ± 1.38, 56.00 ± 25.01, and 93.81 ± 5.88% at 10 seconds and 1, 3, and 5 minutes in the warm saline group and 4.74 ± 0.57, 7.35 ± 0.96, 10.13 ± 1.09, and 11.74 ± 1.74% in the anti-fog group,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3 and 5 minutes (p = 0.029, p = 0.012). Fogging of the central lens was detected in 8 tests after 3 minutes and all 10 tests after 5 minutes in the warm saline group, but no fogging was detected in the anti-fog group.
Conclusions: Application of an anti-fog solution to a wide-field viewing lens prevents lens fogging during vitrectomy.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백신 접종 후 발생한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병 1예
- 장기적 경구 스테로이드 복용이 녹내장 및 고안압증에 미치는 영향
- 편두통이 있는 소아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분석
-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에서 선택적 EP2 수용체 작용제로 변경 후 상안검 고랑 깊은 패임 회복
- 후방유수정체 안내렌즈삽입술 이후 발생한 황반원공에서 내경계막삽입술
- 목시플록사신 0.5% 점안약에 의한 알레르기반응 1예
- 안중증근무력증의 안과적 임상 양상
- 한국인에서 오미데네팍 이소프로필 0.002% 점안액의 안전성 및 효용성 분석
- 개방각녹내장에서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의 단기적 효과, 안정성 및 안구 혈류 변화
-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서 포도막염의 임상 양상과 위험인자에 대한 설문 조사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 치료제의 건강보험 적용 확대 및 다양화에 따른 치료 경향 분석
-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주사 치료 후 시력 및 중심황반두께와 맥락막혈관지수 관련성 분석
- 유리체절제술 중 광각안저관찰렌즈에 발생하는 김서림 예방 방법의 비교
- COVID-19 대유행이 아트로핀 점안 소아 환자의 근시 진행 속도에 미치는 영향
- 양안 백내장 동시 수술과 순차적 양안 백내장수술의 효용성 및 안전성 비교
- 코눈물관협착 환자의 실리콘관삽입술 전 진통제 및 진정제 복용이 통증에 미치는 영향
- 안와와 안와사이막앞연조직염을 동반한 안구감염의 임상 양상 및 예후인자 분석
- 성형안과 질환과 눈물막 내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 9와의 연관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