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편두통이 있는 소아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분석
이용수 4
- 영문명
- Analysis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in Pediatric Migraine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심하은 유수정 최진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10, 951~95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편두통이 있는 소아에서 동반된 시각적인 전조 증상에 따른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차이를 빛간섭단층촬영을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기질적인 질환이 없는 편두통 환아들과 정상 대조군 소아를 대상으로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시신경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시각적 전조 증상의 유무와 양상에 따른 차이도 함께 분석하였다. 또한 편두통의 기간, 지속 시간, 빈도가 망막시신경섬유층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는 편두통 환아 45명과 대조군 30명이 포함되었다. 편두통 환아 중 시각적 전조 증상을 호소한 환아는 15명, 시각적인전조 증상이 없는 환아는 30명이었다. 시각적 전조 증상 중 시각 흐림 및 암점이 있었던 환아는 7명, 섬광 증상을 호소한 환아는8명이었다.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비교는 시각 흐림 및 암점을 호소한 환아에서 대조군, 전조 증상이 없는 환아, 섬광 증상을 호소한 환아보다 전체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가 유의미하게 얇게 나타났다(p<0.05). 또한 두통의지속 시간과 빈도가 전체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782, p=0.022).
결론: 시각 흐림 및 암점의 전조 증상을 호소한 편두통 환아에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가 유의하게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Purpose: We investigated disparities in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surrounding the optic disc among pediatric migraine patients based on the presence of a concomitant visual aura.
Methods: We use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o measure RNFL thickness around the optic disc in children with migraines and no organic diseases, along with a control group of healthy children. Differences in RNFL thicknes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attern of prognostic symptoms.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igraine duration and frequency on RNFL thickness.
Results: In total, 45 children with migraine and 30 healthy control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mong the children with migraine, 15 experienced visual aura, whereas 30 did not exhibit visual aura. Visual prognostic symptoms included blurred vision, scotoma, and scintillating scotoma. Seven children presented with blurred vision and scotoma, whereas eight reported scintillating scotomas. The mean RNFL thickness around the optic disc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blurred vision and scotomas (89.19 ± 7.99 μm)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98.79 ± 8.49 μm), patients without visual aura (100.55 ± 6.43 μm), and patients with scintillating scotoma (102.21 ± 10.13 μm, p < 0.05).
Conclusions: RNFL thickness around the optic disc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children with migraine who reported symptoms of blurred vision and scotoma.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백신 접종 후 발생한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병 1예
- 장기적 경구 스테로이드 복용이 녹내장 및 고안압증에 미치는 영향
- 편두통이 있는 소아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분석
-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에서 선택적 EP2 수용체 작용제로 변경 후 상안검 고랑 깊은 패임 회복
- 후방유수정체 안내렌즈삽입술 이후 발생한 황반원공에서 내경계막삽입술
- 목시플록사신 0.5% 점안약에 의한 알레르기반응 1예
- 안중증근무력증의 안과적 임상 양상
- 한국인에서 오미데네팍 이소프로필 0.002% 점안액의 안전성 및 효용성 분석
- 개방각녹내장에서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의 단기적 효과, 안정성 및 안구 혈류 변화
-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서 포도막염의 임상 양상과 위험인자에 대한 설문 조사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 치료제의 건강보험 적용 확대 및 다양화에 따른 치료 경향 분석
-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주사 치료 후 시력 및 중심황반두께와 맥락막혈관지수 관련성 분석
- 유리체절제술 중 광각안저관찰렌즈에 발생하는 김서림 예방 방법의 비교
- COVID-19 대유행이 아트로핀 점안 소아 환자의 근시 진행 속도에 미치는 영향
- 양안 백내장 동시 수술과 순차적 양안 백내장수술의 효용성 및 안전성 비교
- 코눈물관협착 환자의 실리콘관삽입술 전 진통제 및 진정제 복용이 통증에 미치는 영향
- 안와와 안와사이막앞연조직염을 동반한 안구감염의 임상 양상 및 예후인자 분석
- 성형안과 질환과 눈물막 내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 9와의 연관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