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방각녹내장에서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의 단기적 효과, 안정성 및 안구 혈류 변화
이용수 2
- 영문명
- Latanoprostene Bunod 0.024% w/v Treatment of Open-anlge Glaucoma: Short-term Effects, Safety, and Changes in Ocular Blood Flow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현우 이종은 서샘 이규원 이창훈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10, 930~938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라타노프로스트 0.005% 대비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의 안압하강, 안구 혈류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22년 5월부터 12월까지 라타노프로스트 0.005%를 점안 중인 개방각녹내장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로 교체하였다. 교체 후 3개월까지 안압, 시력, 시신경유두 주위 혈관밀도, 결막충혈, 각막미란, 눈 주위 색소 침착 및주관적 부작용을 비교하였다.
결과: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 교체 전과 후 3개월까지 안압은 17.53 ± 6.49 mmHg에서 16.00 ± 8.06 mmHg로 유의하게감소하였다(p=0.032). 최대교정시력은 교체 전과 후 3개월까지 0.24 ± 0.19에서 0.23 ± 0.16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343). 눈 주위 색소 침착은 교체 전과 후 3개월까지 1.16 ± 0.78에서 1.16 ± 0.82로, 점상각막미란은 교체 전과 후 3개월까지 0.58 ± 0.85에서 0.39 ± 0.76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각 p=1.000, p=0.050). 결막충혈은 교체 전과 후 3개월까지 1.77 ± 0.88에서 1.42 ± 0.81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0). Whole image vessel density, peripapillary vessel density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05). 부작용은 교체 후 3개월까지 가려움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8).
결론: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는 우수한 단기적 안압하강 효과를 보였으나 안구 혈류의 유의한 개선은 없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study the short-term intraocular pressure (IOP)-lowering effect and optic nerve head (ONH) blood flow improvement after switching from latanoprost 0.005% w/v to latanoprostene bunod 0.024% w/v.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ran from May 2022 to December 2022 and included 40 patients with open-angle glaucoma who switched from latanoprost 0.005% w/v to latanoprostene bunod 0.024% w/v. The IOP, ONH blood flow, and conjunctival hyperemia, corneal erosion, and eyelid pigmentation status were measured 3 months after switching. We recorded all possible side effects.
Results: The baseline IOP significantly dropped from 17.53 ± 6.49 to 16.00 ± 8.06 mmHg at 3 months (p = 0.032).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0.24 ± 0.19 to 0.23 ± 0.16); neither did eyelid pigmentation (1.16 ± 0.78 to 1.16 ± 0.82) nor the corneal erosion score (0.58 ± 0.85 to 0.39 ± 0.76). Conjunctival hyperemia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00 ± 0.69 to 1.67 ± 0.63 (p = 0.010). Neither the whole-image vessel density nor the peripapillary vessel density significantly changed. However, pruritus became significantly worse after the change (p = 0.008).
Conclusions: In the short term, latanoprostene bunod 0.024% w/v lowered the IOP more effectively than did latanoprost 0.005% w/v.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ONH blood flow after the switch.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백신 접종 후 발생한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병 1예
- 장기적 경구 스테로이드 복용이 녹내장 및 고안압증에 미치는 영향
- 편두통이 있는 소아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분석
-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에서 선택적 EP2 수용체 작용제로 변경 후 상안검 고랑 깊은 패임 회복
- 후방유수정체 안내렌즈삽입술 이후 발생한 황반원공에서 내경계막삽입술
- 목시플록사신 0.5% 점안약에 의한 알레르기반응 1예
- 안중증근무력증의 안과적 임상 양상
- 한국인에서 오미데네팍 이소프로필 0.002% 점안액의 안전성 및 효용성 분석
- 개방각녹내장에서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의 단기적 효과, 안정성 및 안구 혈류 변화
-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서 포도막염의 임상 양상과 위험인자에 대한 설문 조사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 치료제의 건강보험 적용 확대 및 다양화에 따른 치료 경향 분석
-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주사 치료 후 시력 및 중심황반두께와 맥락막혈관지수 관련성 분석
- 유리체절제술 중 광각안저관찰렌즈에 발생하는 김서림 예방 방법의 비교
- COVID-19 대유행이 아트로핀 점안 소아 환자의 근시 진행 속도에 미치는 영향
- 양안 백내장 동시 수술과 순차적 양안 백내장수술의 효용성 및 안전성 비교
- 코눈물관협착 환자의 실리콘관삽입술 전 진통제 및 진정제 복용이 통증에 미치는 영향
- 안와와 안와사이막앞연조직염을 동반한 안구감염의 임상 양상 및 예후인자 분석
- 성형안과 질환과 눈물막 내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 9와의 연관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