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 방안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
이용수 41
- 영문명
- A Case Study for Exploring Hybrid Class Implementation Strategies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재경 홍효정
- 간행물 정보
- 『Global Creative Leader』제13권 3호, 157~18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학교육의 혁신에 온라인 수업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온라인 수업의 현장 적용을 위한 인프라 구축은 거의 완성됐지만, 운영상의 문제점과 한계점의대표가 되는 ‘소통’,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교육 모델 혹은 수업방식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맥락에서 하이브리드 수업을 제안하며, 실제 사례를 통해 운영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교실 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동시적(synchronous)인 운영’, 수업 참여자사이의 활발한 ‘상호작용성(interaction)’, 동시성과 상호작용성을 가능하게 하는 ‘테크놀로지 기반의 하이브리드 강의실 및 환경’, 학습자의 학습환경 ‘선택권’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이브리드 수업이 안정되게 정착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nline classes have become a fundamental component of higher education transformation. However, although almost complete, the infrastructure for the field application of online classes has been almost completed, needs to explore educational models or teaching methods that can promot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hich are representative of implementation problems and limitations. In this study, we propose a hybrid class in this context and derive an operational plan through real cases. The result is “simultaneous operation” of classroom and online classes, “active interactivity” among class participants, “technology-based hybrid classrooms and environments” that enable simultaneity and interactivity, and “choice” for learners in their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a plan to stabilize hybrid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제개발협력사업 수행 주체로서의 대학의 역할 고찰
-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 방안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
-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진로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과 미래시간조망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 스토리텔링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 행복감의 변화궤적에 대한 그릿, 학업열의, 부모의 양육태도의 영향
- 자연모사 미술융복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