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개발협력사업 수행 주체로서의 대학의 역할 고찰
이용수 45
- 영문명
- A Study on the Roles of Universities as Actor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조원겸 이채영
- 간행물 정보
- 『Global Creative Leader』제13권 3호, 185~21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연구 문헌들에서 나타나는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참여 주체로서 대학이가지는 고유한 역할의 특성과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향후 대학의 국제개발협력 사업수행향상과 관련 연구 수행에 기초가 되는 이론적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3가지 키워드를 검색하여 도출된 논문 67편에서 문장 243개를 선정하고 내용 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역할은 상위 역할 7개(인적자원, 물적 자원, 전문성, 연구정책개발, 사업내용 구성, 협력 기관, 공공재·교육기관), 하위역할 24개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지식·기술’ 역할은 전 영역에서 가장강조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전문성을 개발 협력사업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 전문가 및 인적 자원을 교육하고 양성하는 구체적 계획안이마련돼야 한다. 셋째, 대학이 가진 전문성이 반영되어 사업이 기획되고, 대학 전반에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ique roles of university in ODA and its trend in domestic studies. For this purpose, 243 sentences in 67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the roles were divided into 7 roles(Human Resources, Material Resources, Reporting, Research Policy Development, Project Content Composition, Partner Institutions, Public Goods/Education Institutions), and 24 sub-roles. The most emphasized role was ‘expertise/technology’.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o efficiently apply university expertise to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Second, a specific plan to train experts and human resources should be developed. Third, projects should be designed to reflect the expertise of universities and the awarenes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cross universities should be rai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제개발협력사업 수행 주체로서의 대학의 역할 고찰
-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 방안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
-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진로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과 미래시간조망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 스토리텔링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 행복감의 변화궤적에 대한 그릿, 학업열의, 부모의 양육태도의 영향
- 자연모사 미술융복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