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토리텔링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0
- 영문명
- The Effect of Storytelling Class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Social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경화 배철우 배희라
- 간행물 정보
- 『Global Creative Leader』제13권 3호, 53~7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실험대상은 서울시 동작구 소재 S대학교에 재학중이며 교양과목으로 스토리텔링 수업을 수강하는 다양한 전공으로 구성된 대학생 56명으로, 1학년에서 4학년 남학생 32명, 여학생 24명이었다. 실험은 2021년 3월 2일부터 6월 11일까지 15주에 걸쳐 진행하였고,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 방법(one-group pre-post test design)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학생의 창의성 측정을 위한 사전, 사후검사로는‘대학생용 간편 통합창의성 검사’를 사용하였고, 대학생의 사회적 기술 역량 측정을 위해서는‘대학 교양수업 및 교직 수업효과 평가도구’ 중사회적 기술 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test로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스토리텔링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함양을 위하여 스토리텔링수업과 같은 교양과목을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torytelling class was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ity and social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S University in Dongjak-gu, Seoul and took storytelling classes as liberal arts subjects. The subjects were 32 male students and 24 female students in the first to fourth grad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5 weeks from March 2, 2021 to June 11,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single-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For the pre- and post-tests to measure the crea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Simplified Integrated Creativity Testfor university students’was used, and for measuring the social skills of college students, the ‘Social Skill Questionnaire among the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 and Teaching Professions Class Effect Evaluation Tool’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paired t-test using SPSS 25.0 program.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effective to utilize liberal arts such as storytelling class for creativity and social skill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제개발협력사업 수행 주체로서의 대학의 역할 고찰
-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 방안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
-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진로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과 미래시간조망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 스토리텔링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 행복감의 변화궤적에 대한 그릿, 학업열의, 부모의 양육태도의 영향
- 자연모사 미술융복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