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행복감의 변화궤적에 대한 그릿, 학업열의, 부모의 양육태도의 영향
이용수 75
- 영문명
- The Effects of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Parenting Styles on the Trajectory of Adolescents’ Happiness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양수연 오인수
- 간행물 정보
- 『Global Creative Leader』제13권 3호, 23~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에 근거하여 장기적 관점에서의 행복감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청소년의행복감과 영향요인의 종단적 관계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1차년도에서 4차년도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 패널 총2,160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잠재성장 무조건모형 분석을 통해 행복감의 변화궤적을 확인하였으며, 잠재성장 조건모형 분석을 통해 그릿, 학업열의, 그리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 및부정적 양육태도가 유의하게 예측하는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청소년 행복감은 4차년도에걸쳐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그릿과 학업열의, 그리고 부모의 긍정 및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 행복감의 초기값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행복감이 감소하는 속도에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적 학업 관련 변인을 활용함으로써 청소년들이 공부를하는 과정에서도 행복을 실현할 수 있도록 행복 증진을 위한 보다 장기적 차원의 교육적 개입의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happiness and influencing factors in order to find ways to improve happines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To this end, the survey data for the first to fourth years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were used, and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160 first-year middle school panels. The trajectory of happiness was confirmed through the unconditional model analysis of the latent growth model, and through the condition model analysis of the latent growth model, it was verified whether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As a result, first, adolescents’ happiness gradually decreased over the fourth year. Second,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initial value of adolescents’ happiness and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creasing rate of happi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longer-term educational intervention to promote happiness so that adolescents can realize happiness even in the process of studying by utilizing positive psychological academic variabl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제개발협력사업 수행 주체로서의 대학의 역할 고찰
-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 방안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
-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진로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과 미래시간조망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 스토리텔링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 행복감의 변화궤적에 대한 그릿, 학업열의, 부모의 양육태도의 영향
- 자연모사 미술융복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