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연모사 미술융복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7
- 영문명
- The Effects of Nature-Inspired Art Convergence Class On Learning, Problem-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현희 양혜진 이경화
- 간행물 정보
- 『Global Creative Leader』제13권 3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모사 미술융복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는 중학생 36명을 대상으로 8주간(16회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참가자들은 각각 18명의 학생으로 구성된 실험 그룹과 통제 그룹에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자연을 모사한 과학예술 융복합 수업에 참여했고, 통제집단의 학생들은 자연모사 강의수업에 배정되었다. 사전 및 사후 검사는 Huh(2006)가 PSI-B(Happer & Peterson, 1982)를 수정,보완한 검사와 Yang et al.(2018)이 개발하여 타당화 한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검사(SDLAT)를 사용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모사 미술융복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과학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연모사 융복합수업은 학생들이 탐구활동을 즐겁게 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실생활의 다양한 문제를자기주도적으로 문제해결해 나가며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과과학적 문제해결력 향상이 되는 자연모사융복합수업은 중학생의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되므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Nature-Inspired Art Convergence class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involved 36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perimentation was conducted for eight weeks (16 session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mprising 18 students each.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Nature-Inspired Art Convergence class,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were assigned to a nature-inspired lecture class. For pre and post-test, PSI-B (Happner & Peterson, 1982) and SDLAT (Yang et al., 2018) were used, whil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study found that Nature-Inspired Art Convergence clas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natural mimicry art fusion class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in learning was increased by providing students with pleasure in inquiry activities.It is expected that the natural simulated convergence class, which improves self-directed learning and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so follow-up research is need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제개발협력사업 수행 주체로서의 대학의 역할 고찰
-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 방안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
-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진로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과 미래시간조망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 스토리텔링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 행복감의 변화궤적에 대한 그릿, 학업열의, 부모의 양육태도의 영향
- 자연모사 미술융복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