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29
-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병옥 김주후
- 간행물 정보
- 『Global Creative Leader』제13권 3호, 73~9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의 셀프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72명의 대학생이었으며, 2023년 6월 1일부터 6월 7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변인 간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셀프리더십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임파워먼트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 임파워먼트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셀프리더십은 심리적 임파워먼트르를 매개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셀프리더십은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경유할 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이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가지는 매개효과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며, 향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노력에 이 변인들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study subjects were 172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and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June 1 to June 7, 2023.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Psychological empowerment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creased more when passing through psychological empowerment. This result confirms the import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t suggests that considering these variables is important in future efforts to enha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ugges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제개발협력사업 수행 주체로서의 대학의 역할 고찰
-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 방안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
-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진로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과 미래시간조망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 스토리텔링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 행복감의 변화궤적에 대한 그릿, 학업열의, 부모의 양육태도의 영향
- 자연모사 미술융복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