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파극과 창극의 연기형식 비교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Acting Types of Chang-keuk & Sinpa-keuk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류경호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4집, 107~14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0.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파극은 식민지 조선 사회 곳곳에 내면화된 가치를 수용하면서도 서구문화의 패권에 저항하는 대중문화 공연양식으로 기능했을 가능성이 있다. 즉 정치적 영역과 문화적 영역의 경계를 넘나들며 그 효과들을 발휘했던영역이 존재한다. 그런 점에서 그 동안 연구사에서 간과되어온 신파극의정치 문화적 긍정성과 양식적 특성과 연극사 혹은 문화사적인 위치의 수정이 요구된다. 판소리가 옥내무대로 전이되면서 창극화 과정을 살필 수 있다. 이러한 연기공간의 변화는 청관중과의 교류의 폭을 넓혀야 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신파극과 창극은 청관중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변사 또는 도창이라는 매개자를 두었다. 당시의 공연예술계 현황과 맞물려 변화해 온 창극은 연기공간의 변화에 따른 신파극의 영향관계 속에서 과장된 연기방식을 수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창극이 독자적인 장르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연기형식의 변화가 뒤따라야 하는데 창극의 연기는 신파극의 전형적 연기방식을 답습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창극의 연기형식은 고정적인 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연기자에따라 자유롭게 하며 그 표현양상은 즉흥적이거나 과장적, 혹은 압축적발림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창극은 발생론적인 측면에서 개화 초기 신파극과 연관성을 부인할 수없다. 신파극과 창극공연의 역사적 전개과정에서 신극 연기자들과 연출자들이 창극 공연에 가담하면서 공연형식이 융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신파극과 창극의 연극적 여건과 유사성을 추출하여 서로 공통되는 연기형식의 비교 연구가 필요했다. 또한 현대 공연예술 이론과의 접목을 통한 연기형식의 변화양상은 어떠했는지 검토했다. 이와 관련하여본 연구는 창극의 신파극 수용양상을 검토하고, 변사와 도창의 공연공간에서의 소통구조는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즉흥적과잉연기 형식에 대하여 창극과 신파극의 특성을 비교하고, 문화-장(場)으로서의 양식적 변환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 배경에 대하여도 고찰해보았다.

영문 초록

Sinpa-keuk accepted the internalized value all over the colonial Chosun society, but at the same time there is possibility it functioned as culture-field performance style to resist against the imported western culture. In other words, the area that demonstrated effects across the border line between political area and cultural area exists. In that sense, political & cultural positiveness, pattern character, and demonstration of position in the dramatic history or cultural history of Sinpa-keuk ,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the research history, are required. As pansori spreads to indoor stage,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Chang-keuk can be studied. This change of performance space means that range of exchange with audience and spectator had to be widened. Thereby Sinpa-keuk & Chang-keuk had intermediary so called byeon-sa(silent-film narrator) or Do-chang for smooth communication with audience and spectator. Chang-keuk, which had changed with performing arts' present conditions of those days, within effect relation of Sinpa-keuk according to the change of performance space, showed an aspect that accepted the exaggerated performance style. For Chang-keuk to be built as an independent genre, the change of performance form must be followed, but the acting of Chang-keuk developed as appearance to follow the typical acting style of Sinpa-keuk. The acting form of Chang-keuk is not composed of fixed formality,but it is expressed freely depending on the actor and the appearance of expression is shown spontaneous, exaggerative or in the form of compressive flattery. In the aspect of development theory, Chang-keuk's association with Sinpa-keuk of early part of efflorescence can not be denied. In historical process of development of Sinpa-keuk & Chang-keuk, as Sinpa-keuk actors and directors join the Chang-geuk performance, the form of performance has been fused. In that sense, comprative study for each other's common style of acting is needed by extracting of similarity and theatrical conditions of Sinpa-keuk & Chang-keuk. Also, I reviewed how the change of aspect of acting form through the grafting with modern performing arts is lik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reviewed Chang-keuk's acceptance appearance of Sinpa-keuk, and also reviewed what relation had for communication structure of byeon-sa and Do-chang in the performance space. Also, I compared characteristic of Chang-keuk & Sinpa-keuk about spontaneous exaggerative acting style, and studied the background about how style change as culture-field has made up of.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경호. (2012).신파극과 창극의 연기형식 비교연구. 판소리연구, (), 107-142

MLA

류경호. "신파극과 창극의 연기형식 비교연구." 판소리연구, (2012): 107-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