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변강쇠가>에 나타난 공간과 유랑민의 삶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space and nomadic people’s life in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선현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4집, 5~3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0.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필자는 <변강쇠가>에 나타난 공간의 양상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변강쇠가>의 공간은 크게 집, 마을, 산, 길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작품에서 집은 무너진 곳으로 형상화되는데, 이는 집이 편안하고 안정적인 공간이 아니라 좌절된 공간으로 자리함을 보여준다. 또한 마을은 장승으로 막혀진 곳으로, 옹녀와 강쇠 같은 인물이 정착할 수 없는 배타적인공간으로 그려진다. 반면에 산은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나무와 나물 등이가득한 곳으로 옹녀와 강쇠에게 삶의 가능성을 꿈꾸게 하는 생산적 공간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산전을 일구며 살고자 하는 옹녀의 꿈은 강쇠의 죽음으로 인해 좌절되고, 결국 옹녀는 또다시 길이라는 운명적 공간에 놓이게된다. 이러한 공간의 양상 및 형상화 방식은 유랑민들의 현실적 삶에 근거하고있으며, 유랑민들이 연행 체험, 삶의 근거지로 자리 잡았던 포구 등 현실에서의 체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신재효는 현실성과 합리성을 기반으로판소리 사설을 개작하였으며, 여러 유랑예인들과 교류하면서 그들의 연행체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에서 신재효가 <변강쇠가>를 판소리 여섯 바탕 중 한 바탕으로 남겨 두었던 까닭을 유추해 볼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uthor analyzed the pattern of the spaces in and studied its signification. The space i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house, village, mountain, and road. In this work, a house took the form of a house collapsed, which shows a house is not a comfortable and stable space, but a frustrated place. Furthermore the village blocked by Jangseung was portrayed as an exclusive place where a person like Ongnyeo or Gangsoi could not settle down, whereas the mountains filled with trees and herbs for living was portrayed as a productive space where Ongnyeo or Gangsoi could dream about the possibility of living. However, Ongnyeo’s dream of living by cultivating mountains was frustrated by the death of Gansgsoi and Ongnyeo was put into a space of fate, a road, once again. The spatial patterns and imagery are based on the realistic life of nomadic people and the experience of the nomadic people in the reality- the harbor where they settled down for living. Shin, Jae Hyo dramatized Pansorisaseol based on reality and rationality and indirectly experienced their diplomatic journey, interchanging with them. Based on the fact as above, it is possible to infer the reason why Shin, Jae-Hyo left as one Batang of 6 Pansori Batangs.

목차

1. 서론
2. <변강쇠가>에 나타난 공간의 양상
3. <변강쇠가> 공간의 의미와 신재효의 인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현. (2012).<변강쇠가>에 나타난 공간과 유랑민의 삶. 판소리연구, (), 5-31

MLA

김선현. "<변강쇠가>에 나타난 공간과 유랑민의 삶." 판소리연구, (2012): 5-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