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양식사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 ‘화극(話劇)’의 전통

이용수 3

영문명
Korean ‘dialogue drama(話劇)’ on the view point of ‘Formgeschichte’: focused on historical position of Johee/Woohee style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익두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4집, 33~78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0.31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연극학 논의에서 양식론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관한 논의가 거의전무한 현실은 학문적으로 큰 문제가 있다. 양식사적 관점에서 우리 희곡/연극사를 보면, 거기에 ‘조희/우희’라는 양식이 빠져 있거나 매우 소홀하게다루어져 있다. 우리 희곡/연극사에서 ‘조희/우희’는 하나의 중요한 희곡/연극 양식으로 설정되어야만 한다. 조희/우희 관련 자료들의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이 희곡/연극 양식의 희곡/연극사적 의의를 도출할수 있다. 첫째, 구성상으로는 단순구성·단일구성을 지향한다. 둘째, 어법상으로는 우리의 전통 가면극이 지향하는 풍자·해학의 방향 중에서 풍자의 방향성을 좀 더 강하게 띠고 있다. 셋째, 스토리상으로는, 주로 당대의 핫 이슈가 되는 사회-정치적인 문제 거리들을 제재로 선택하며, 주제상으로는 당대의 이러한 사회-정치적인 문제들을 비판하여 이의 해결을 도모하는 정치-사회적인 방향을 지향한다. 이런 면에서 이 양식은 일종의 ‘사회극’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넷째, 공연 면에서는, 일종의 즉흥극(improvisation)의 성격을 견지하고 있으며, 청각적·시각적 요소들의 처리들도 즉흥극에 맞게 대체로 매우 간략·단순한 방향을 취하고 있다. 다섯째, 역사적 전개 면에서는 삼국시대에 시작되어, 남북국시대에 들어와 양식화 작업이 시작된 후,고려시대에 들어와 하나의 희곡/연극 양식으로 자리를 잡았고, 조선시대에들어와 중요한 희곡/연극 양식으로 꽃을 피웠다. 여섯째, 형식상으로의 특징으로는 소극(笑劇) 혹은 혹은 촌극(寸劇)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일곱째,양식상으로는 우리의 인형극·가면극·판소리 등과 함께 우리 전통 희곡/연극의 4대 양식으로 자리매김을 해야 한다.

영문 초록

A discussion on styles/genres of Korean drama is very important in Korean dramatics. There are no discussions of style/genre in Korean dramatics. It is very problematic. On the view point of ‘Formgeschichte’, there is no the sty le of Johee/Woohee in discussions of history of Korean drama s ty les. We must authorice the style of Johee/Woohee as main style of Korean drama. We can induc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of Johee/Woohee as follows;firstly, simple plot or single plor in plot; secondly, satiric dictions in stylistics;thirdly, socio-political issuses in story and theme, social drama; fourthly,improvisation drama in performing; fifthly, in development of the style,starting from Samgooksidae, through the differentiating in Nambukkuksidae and establishing the style in Koreasidae, and arriving at bursting into bloom in Chosunsidae; sixthly, farce in form; seventhly, one of the main classical styles of Korean drama in the history of style/genre.

목차

1. 문제제기
2. 양식사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연극 양식사 전개
3. 조희/우희 양식의 역사적 전개 양상
4. 작품 자료 분석을 통해서 본 조희/우희의 양식적 특성
5.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익두. (2012).‘양식사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 ‘화극(話劇)’의 전통. 판소리연구, (), 33-78

MLA

김익두. "‘양식사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 ‘화극(話劇)’의 전통." 판소리연구, (2012): 33-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