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재효 단가의 재조명

이용수 2

영문명
Re-illumination of Sin, Jae-Hyo’s Danga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권순회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7집, 5~2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신재효의 단가 사설을 대상으로 그 개작과 후대 수용 양상에 대해 살폈다. 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재효의 단가 사설의 개작은 두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첫째 방향은 기존에 가창되던 단가 사설을 자신의 의도에 맞추어 합리적인 방향으로 개작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 양상을 <새타령>과 <대관강산>을 통해 확인하였다. 둘째, 당시에 폭넓게 유통되던 시가 문학을 텍스트를 단가 사설의 개작에 적극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호남가>, <태평가>, <궁장가>, <북정가> 등은 바로 그러한 사례이다. 이들은 특히 조선 후기 폭넓게 유통되었던 교본류 가사의 텍스트를 단가 사설로 활용한 사례로 파악하였다. 단가의 내용은 주로 송축, 윤리 등 중세적 관념의 회고 지향이 두드러지는데 여기에는 일정 정도 신재효의 의식이 투영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허두가」 13편의 가치는 무엇보다 판소리 여섯 마당과 같이 단가 사설에 대한 최초의 정리된 문헌 기록이라는 데에 있다. 이는 신재효가 판소리 여섯 마당처럼 단가도 적극적인 정리와 개작을 통해 사설의 정본화를 꾀한 결과도 파악된다. 따라서 이들은 신재효 버전의 단가 사설 선집으로 보아야 마땅하다. 하지만 신재효의 단가는 정본화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후대에 널리 가창되지는 않았고 사설의 전승도 일부 작품에 그친 것을 파악되었다. 특히 신재효가 교본류 가사 텍스트를 활용하여 재창작한 단가 사설의 경우 <호남가>를 제외하고는 거의 전승되지 않았다. 이들은 주로 송축, 윤리 등 중세적 관념을 표출하는 회고 지향의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어 20세기 초 청중들의 감성과 일정 정도 거리가 있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adaptation and transmission of Sin, Jae-Hyo’s text of danga.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Sin adapted the text of danga in two directions. First direction is that he modified the existed danga’s text into the reasonable context by his intention. We confirm the aspect in Saetaryeong(Bird Song) and Daegwangangsan. Second direction is that he actively made full use of popular song’s text when he modified danga’s text. Honamga, Taepyeongga, Gungjangga, Bukjeongga are examples of the second case. Especially, this case used of Gyoryubon gasa(prose-poetry)’s text which was circulated widely in the late Joseon. Contents of danga principally tend to recall the Middle Age’s thought like a moral and a eulogy. I think that Sin partly projected his attitude into danga text. 13 pieces of Heoduga’s value is that the first documentary record of danga text as 6 pieces (madangs) of Pasori. Sin attempted to make danga’stext into a formal documentary record by his positive arrangement and adaptation. Therefore we should regard this text as the anthology of Sin’s version danga text. However his danga would not sing widely and were partly transmitted in following generations in spite of his effort. Especially it were hardly transmitted that his own recreated danga text. Just Honamga has been transmitted. This text consists of retrospective contents, Middle Age’s thought like a eulogy and a moral. Therefore his text is long way from the audiences’ sensitivity in the early 20 centuries up to a certain point.

목차

1. 서론
2. 단가 사설 개작의 두 방향
3. 단가 사설의 전승 양상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순회. (2009).신재효 단가의 재조명. 판소리연구, (), 5-28

MLA

권순회. "신재효 단가의 재조명." 판소리연구, (2009): 5-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