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흥보가 중 제비가에 나타난 설정제의 구현 양상

이용수 5

영문명
The Aspect of Realizing Sul-lung Je Shown in Jebi-ga of Heungbo-ga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서정민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7집, 89~11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판소리 악조 중 하나인 설렁제를 흥보가 중에서 제비가 대목을 중심으로 음악적 특징을 연구한 글이다. 설렁제는 서민들이 씩씩하고 경쾌하게 걷는 모습을 나타내는 용어로 이 악조가 대목의 극적 상황과 일치하기 때문에 여러 명창들에 의해 설렁제라 불리 운다. 설렁제로 부르는 대표적인 대목은 흥보가 중에서 제비가(놀보가 제비를 후리러 가는 대목)대목, 춘향가 중 군로사령 대목, 심청가 중 남경선인 대목, 수궁가 중 해원군 방게 대목, 적벽가 중 한 군사 떠들고 나오는 대목 등이 있다. 설렁제로 부르는 대목 중에서 제비가는 권삼득의 더늠이다. 권삼득은 초기 팔 명창 중의 한 사람으로 장기가 흥보가이고, 더늠으로 후세에 전한 것은 제비가라고 하였다. 따라서 권삼득의 설렁제는 판소리 더늠 중에서 最古의 것으로 현재까지 전해지므로 그 음악사적 의의가 매우 높다 하겠다. 따라서 설렁제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설렁제의 대표적인 대목인 흥보가 중에서 제비가를 선택하여 김창룡․임방울․김연수․강도근․박녹주․박동진․박봉술․박초월 등 8명의 소리를 비교․분석하였다. 출현음과 특징적인 선율형, 종지음의 분석을 통해 제비가에 나타난 설렁제의 공통된 특징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제비가에 나타나 설렁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렁제는 판소리 악조 중의 하나로 ‘라-도'-레'-미'-솔'-라'’의 음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음 구조 안에는 평조적 선율이 포함된다. 둘째, ‘솔'-라'-도''’의 고음역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긴장감과 고조감 등의 느낌을 갖는다. 셋째, 대목의 첫 선율은 ‘라'’음의 질러내어 반복적 사용한다. ‘라’음은 곡 전체의 약 40% 정도 쓰인다. 넷째, 두 개의 특징적인 선율형이 존재한다. 하나는 ‘라'’음을 중심으로 옥타브 아래로 음이 뚝 떨어지거나 반대로 옥타브 위로 갑자기 올라가는 형태이다. 다른 하나는 짧은 시가의 ‘도''’음을 빨리 굴려서 두 번 내지 세 번을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다루를 중심으로 하는 형태이다. 마지막으로 종지는 장단을 던져놓고 자유롭게 두 장단 이상을 사용하여 ‘이-이’․‘이루어’ 등의 구음을 사용하여 저음인 ‘솔’이나 ‘라’음으로 종지한다. 이것은 후대의 명창들에 의해 덧붙여진 것으로 그 이전의 모습은 구음이 아니라 사설로 마치는 김창룡의 종지형태일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춘향가 중에서 군로사령대목․심청가 중에서 남경선인 대목 등을 연구하여 이상에서 살펴 본 제비가에서 나타난 설렁제의 특징을 종합하여 본다면 좀 더 명확하게 설렁제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studies the musical features of Sul-lung Je, one of the musical tunes of Pansori, based on the part of Jebi-ga(Song of Swallow), in Heungbo-ga(Farmer’s Song). Sul-lung Je is the term representing the people’s lively and cheerful walking figure. Since this tune corresponds to the part’s dramatic context, several celebrated singers refer to it as Sul-lung Je. Typical parts sung by Sul-lung Je are Jebi-ga part (the part in which Nolbo goes to hunt up swallows) in Heungbo-ga, Gunrosaryeong part in Chunhyang-ga, Namgyeongseonin part in Simcheong-ga, Haewongun Bangge part in Sugung-ga, and the part where a soldier comes out mumbling in Geokbyeok-ga. Among the parts sung by Sul-lung Je, Jebi-ga is Kwon Sam-Deuk’s deoneum. Kwon was one of the eight famous signers in the beginning. He was especially good at Heungbo-ga, and what has been transmitted as his deoneum is Jebi-ga. Therefore, Kwon’s Sul-lung Je is the oldest among the deoneums of Pansori and has been succeeded until now, so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musical history.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ul-lung Je, this study selected Jebi-ga in Heungbo-ga, one of the representative parts of Sul-lung Je, and compared analytically how it was sung by eight singers, Kim Chang-ryong, Im Bang-ul, Kim Yeon-su, Kang Do-geun, Park Nok-ju, Park Dong-jin, Park Bong-sul, and Park Cho-wol. Thereby, it was able to understand the common features of Sul-lung Je shown in Jebi-ga through analyzing appearing tones, main tones, distinctive melodic patterns, and ending tones. The characteristics of Sul-lung Je shown in Jebi-ga are as stated below. First, Sul-lung Je is one of the tunes of Pansori and has a tonal structure of ‘la-do'-re'-mi'-sol'-la'’. This tonal structure includes the melody of Pyeongjo. Second, it mainly uses the high range of ‘sol'-la'-do''’, so it provides feelings of suspense and exultation. Third, the first melody of the part repetitively uses the shouting ‘la'’. The tone ‘la’ occupies about 40% of the whole tune. Fourth, there exist two remarkable melodic patterns. One is the pattern in which the tone either falls down suddenly to an octave below centering around the ‘la'’ tone or goes up to an octave above abruptly. The other is the pattern that centers around Daru which uses ‘do''’ in the short poetic song twice or three times successively as rolling it fast. Finally, the cadence throws the rhythm and uses two or more rhythms freely. It uses oral sounds such as ‘yi-yi’ and ‘irueo’ and ends with low tones like ‘sol’ or ‘la’. This was added by well-known signers in the next generations; thus, it is presumed that its previous pattern did not use oral sounds but ended with Saseol as in Kim Chang-ryong’s cadence pattern. If follow-up researches study Gunrosaryeong part in Chunhyang-ga and Namgyeongseonin part in Simcheong-ga and synthesize the characteristics of Sul-lung Je shown in Jebi-ga which has been examined here, Sul-lung Je will be defined in a more clear way.

목차

Ⅰ. 머리말
Ⅱ. 창자별 제비가의 음악적 분석 및 비교
Ⅲ.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정민. (2009).흥보가 중 제비가에 나타난 설정제의 구현 양상. 판소리연구, (), 89-114

MLA

서정민. "흥보가 중 제비가에 나타난 설정제의 구현 양상." 판소리연구, (2009): 89-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