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오위장본집》 소재 <토끼타령>에 드러난 변모양상과 의의

이용수 0

영문명
he Transformation and Significance of Tokki-taryong in ShinOwijangbonjip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송미경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7집, 115~14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신오위장본집》권5에 수록된 <토끼타령>을 대상으로, 신재효의 개작 이후 그의 사설이 어떻게 변모하였으며, 판소리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토끼타령>은 그 사설이《신오위장본집》에 함께 수록된 <兎鱉歌>와도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전체가 창과 아니리로 분화된 가운데 각 창마다 적절한 장단이 부기되어 있어 ‘소리책’으로 분류하기에 손색이 없었다. 따라서 <토끼타령>에 드러난 사설적․음악적 변모의 양상을 면밀히 고찰하여 그 의미와 지향을 도출해 내는 것도 신재효를 재조명하는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먼저 사설상의 변모를 살펴보면, 한자어로 된 사설을 쉬운 순우리말로 바꾼 점, 다소 점잖고 밋밋한 표현들을 재미있게 바꾼 점, 당시 유행하던 창의 사설을 삽입한 점, 지나치게 직설적인 비판을 담은 문구를 삭제한 점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대부분 소리판 청중들의 호응을 얻기 위한 선택이라 할 수 있다. 음악상의 변모로는 우선 전체가 큰 덩어리의 줄글로 되어있었던 사설을 창과 아니리로 분화하고, 각각의 사설에 장단을 기입한 점을 들 수 있다. 그 장단의 분배는 <수궁가>에 일반적으로 보이는 것과 유사할 뿐 아니라, 일부는 김연수의 <수궁가> 창본과도 비슷한 특징을 보여, <토끼타령>이 실제 연행을 고려하여 짜인 소리책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토끼타령>의 소장자 김종길은 영광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뛰어난 소리꾼이자 고수로, 판소리 이론에도 매우 해박하였던 인물이다. 실제 소리판에서 활동했던 그가 <토끼타령>을 소장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이 이본이 실질적인 연행을 목적으로 한 소리책임을 입증하는 증거가 될 수 있다. 신재효의 개작 판소리가 광대들에 의해서 널리 불리지 못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본고에서 살펴본 <토끼타령>에는 사설의 변이와 장단의 기입을 통해 신재효의 판소리 개작이 가지는 한계를 부분적으로나마 극복해 보려는 노력이 반영되어 있었다. 중요한 사실은 신재효의 개작 판소리가 판소리사에서 애초의 원본 그대로 고정되어 있었던 것만은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신재효본 계열에는 단지 읽히기 위한 서사물․독서물로서의 <토별가>도 존재하였지만 소리판의 청중을 고려하여 사설을 변모시키고, 음악적인 측면을 보완한 소리책으로서의 <토끼타령>도 분명 존재하였다. <토끼타령>은 신재효의 개작 사설이 소리책으로 변모해간 한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로, 더불어 그간 판소리사에서 잊혔던 김종길이라는 명창의 존재를 알려주는 계기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make Tokki-taryong which appears in ShinOwijangbonjip book five an object to explore some questions; 'How is changing Shin Jaehyo's lyric did exist after his rewrite?' and 'What kind of influences his lyric exerted on the Pansori worl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okki-taryong and Tobyeol-ga兎鼈歌 which is also contained in ShinOwijangbonjip at a lyrical aspect. And it is clear that Tokki-taryong is “Sori-chaek(Pansori lyric book)” due to the specific character; every lyric of it is divided into Chang(singing) and Aniri(recitation), and each songs have suitable Jangdan(beat signs). For these reasons, it is the another way to illuminate Shin Jaehyo to consider Tokki-taryong carefully by thinking what had changed in the aspect of a lyric and a music First of all, we can find some interesting “lyrical” changes in Tokki-taryong; Shin Jaehyo translated original lyric in Chinese to Korean, and transform boring or behaved texts into fun contents. It is a also interesting point that Chang which was fashioned in those days had been inserted and too much straight and critical expressions had been deleted. These are schemes to obtain a favor of listeners who had been being enjoyed Pansori. There are also “musical” changes. First, he divided whole original text into Chang and Aniri, then wrote in suitable Jangdan beside each of the lyrics. These beat signs are similar to Kim Yeonsu's Sugung-ga lyric book, so we can presume that Tokki-taryong was the “Sori-chaek” to play actual performances. Kim jonggil who was active in Younggwang region, the owner of Tokki-taryong was not only a great singer but also a good Gosu(drummer). He is the man who had a wide knowledge about Pansori theories. Shin Jaehyo's adapted lyrics didn't remain as the first original version. Tokki-taryong was a transition from mere lyric book to Sori-chaek. And it recalled the master singer Kim jonggil who went out of the people's head and the history of Pansori.

목차

1. 머리말
2. <토끼타령>에 드러난 소리책으로서의 변모양상
3. <토끼타령>의 소장자 김종길(金宗吉)에 관한 검토
4. <토끼타령>의 자료적 가치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미경. (2009).《신오위장본집》 소재 <토끼타령>에 드러난 변모양상과 의의. 판소리연구, (), 115-146

MLA

송미경. "《신오위장본집》 소재 <토끼타령>에 드러난 변모양상과 의의." 판소리연구, (2009): 115-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