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술과 예술

이용수 4

영문명
Technology and Art: A Study on director of photography Yang Se-woong in the mid-1930s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상민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94집, 227~26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30년대 중반 식민지 조선 영화의 제작실천과 관련하여 촬영감독 양세웅의 역할과 미학을 분석한다. 이 시기 조선영화계에는 발성영화로의 전환과 함께 영화 기업화가 시도되었으며, 일본에서 영화적 경험을 쌓은 신진 인력들이 대거 등장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일부 촬영감독은 촬영에 관한 자율성을 보장받기 시작했고, 자신의 영화 이론적 사유와 미학적 관점을 여러 지면에 적극적으로 밝히기도 했다. 이와 관련한 본 연구의 핵심적인 질문은 당시 영화제작에서 촬영감독의 영화적 미학이나 의도는 어느 정도 개입될 수 있는가였고, 여기에 답하기 위해 이 시기를 대표하는 촬영감독 양세웅에 초점을 맞췄다. 양세웅은 일본에서 영화 활동을 한 후, 1935년 조선에 돌아와 박기채 연출의 <춘풍> 촬영을 맡으며 조선 영화계에 새롭게 등장했다. 이후 조선영화계를 대표하는 여러 감독들과 두루 작업하면서 촬영과 관련하여 최고의 평가를 받는 인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특히 양세웅은 당시 촬영감독 중에서는 예외적으로 자신의 촬영 미학을 구체적으로 정리한 여러 편의 중요한 글을 남기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는 “시적인 엣모스퍼(atmosphere)”로 대표되는 양세웅의 미학론과 1930년대 중반 이후 조선영화에서 하나의 주요한 영화적 관습으로 등장한 조선의 로컬 컬러(local color)를 담은 장면들 간의 상관성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role and aesthetics of cinematographer Yang Se-woong in relation to the production practices of colonial Joseon films in the mid-1930s. During this period, the Joseon film industry underwent a transition to sound films, which led to attempts at film industrialization, and a significant influx of talented personnel with film experience from Japan. Starting from the mid-1930s, some cinematographers began to gain autonomy in their shooting, actively expressing their film theories and aesthetic perspectives. The central question of this study was whether there is a common cinematic convention or style that can be found across different films produced by various creators, and to what extent the cinematographer's filmic aesthetics and intentions could be involved if such conventions or styles exis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research focuses on Yang Se-woong. After working in Japan, Yang Se-woong returned to Joseon in 1935 and emerged as a prominent figure in the Joseon film industry by handling the cinematography for Park Ki-chae's film “Spring Wind(Chunpung)”. He continued to work extensively with several other directors representing the Joseon film industry and garnered the highest acclaim for his cinematography in the mid-1930s. This study closely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Yang Se-woong's aesthetics, characterized by the concept of “poetic atmosphere,” and the emergence of “local color” scenes as a significant cinematic convention in Joseon films after the mid-1930s.

목차

1. 들어가며
2. 1920년대 촬영감독의 역할과 그 위상
3. 2세대 영화인의 등장과 촬영감독의 자율성
4. 양세웅 촬영 영화 목록과 그 특징
5. “시적인 엣모스퍼(atmosphere)”와 극작을 초과한 이미지-양세웅의 촬영미학
6.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민. (2023).기술과 예술. 한국문학논총, (), 227-266

MLA

김상민. "기술과 예술." 한국문학논총, (2023): 227-2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