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년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내용 체계’의 변화와 현대소설 교육의 과제

이용수 120

영문명
Changes in the ‘content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tasks of modern novel education: Focusing on environmental/ecological crises and multicultural/minority issues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명훈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94집, 381~42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이 확정됨에 따라 향후 중등학교 문학(소설)교육에도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총론에서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으로 지목된 환경․생태 위기와 사회적 갈등의 증가는 특히 국어과 문학 영역과 관련이 깊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우리 공동체의 당면 과제로 지목된 환경․생태 위기와 사회적 불평등․소수자 문제가 어떻게 문학(소설)교육을 통해 의미 있게 학습될 수 있을지 논의해 보았다. 기존 소설교육에서 환경․생태 문제는 주로 인간과 자연의 이분법적 분리를 전제로 하여 인간에 의한 자연의 파괴를 성찰하는 데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이처럼 생태적 감수성을 당위적으로 학습하는 소설교육은 기후․환경 위기에 내재된 사회적 차원의 복잡성을 추상화할 뿐만 아니라 소설교육 자체로서도 효용성이 떨어진다. 2장에서 살펴본바, 생태교육의 당위성을 강조하는 기존 교과서의 소설 제재화 방식은 환경․생태 위기의 복잡성과 긴급성을 도외시할 뿐만 아니라 작품에 대한 오독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소설을 활용한 사회적 불평등․소수자 문제 교육 역시 유사한 문제가 존재한다. 3장에서 살펴본 것처럼, 소설 텍스트의 교육적 활용 방식을 숙고하지 않을 경우, 소수자 문제를 다루는 소설이 오히려 소수자를 식별하거나 사회적 불평등을 조장하는 매체로 학습될 가능성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소설을 활용해 환경․생태 위기와 사회적 불평등․소수자 문제를 학습할 때 발생하는 딜레마는 상당 부분 인과적 내러티브에 의존하기 마련인 소설의 양식적 특성에서 비롯된다. 소설(novel)은 현실의 문제를 인과적 내러티브로 제시하기 때문에 현실의 재현 체계와 구분되지 않거나 지배 이데올로기에 의해 전유될 가능성이 항존한다. 따라서 소설을 활용해 공동체 문제를 보다 의미 있게 학습하기 위해서는 인과적 내러티브만이 아니라 소설의 매개적 작용 자체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우리 공동체의 현실적인 문제는 그것을 반영하는 한국소설에도 여전히 한계로 존재할 수밖에 없지만, 문학은 그 한계를 투시할 수 있는 자기인식적 역량을 그 양식 자체에 내장하고 있다. 문학은 언어의 지시적 기능을 활용하지만 현실을 재현하는 도구인 언어의 쓰임과 그 정당성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기에 비로소 문학으로 규정된다. 따라서 이 문학 언어의 독특한 역량을 익히는 작업이 개인의 고립을 막고 학습자들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핵심적인 방법이 되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As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finalized, many changes are expected in secondary school literature(novel) education in the future. Environmental/ecological crises and social conflicts, which are pointed out as the background of curriculum revision in the general discussion, deserve attention in that they are particularly related to the field of literature. Therefore, in this paper, we discussed how the environmental/ecological crisis and social inequality/minority issues, which were pointed out as the immediate challenges of our community in the new curriculum, can be meaningfully learned through literature(novel) education. In the existing novel education,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oblems were mainly focused on introspecting the destruction of nature by humans on the premise of the dichotomy of human and nature separation. However, novel education that learns ecological sensibility as a matter of course not only abstracts the complexity of the social dimension inherent in the climate/environmental crisis, but is also less effective as novel education itself. As examined in Chapter 2, it is because the novel method of existing textbooks tha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cological education not only ignores the complexity and urgency of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risis, but also has a high possibility of causing misreading of the work. Social inequality and minority problem education using novels also have similar problems. As examined in Chapter 3, if the educational use method of novel text is not consider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novels dealing with minority issues will rather be learned as a medium to identify minorities or promote social inequality. Most of the dilemmas that arise when learning about environmental /ecological crises and social inequality/minority issues using novels stem from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novels that rely on causal narratives. Since novels represent problems in reality as causal narratives, there is always a possibility that they are not distinguished from the representation system of reality or that they are appropriated by the dominant ideology. Therefore, in order to learn community issues meaningfully using novel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not only to causal narratives but also to the mediating action of novels. The realistic problems of our community still exist as limitations in Korean novels that reflect them, but literature has the self-aware capacity to see through the limitations built into its style itself. Literature uses the referential function of language, but it is defined as literature because it can determine the use and legitimacy of language as a tool to represent reality. Therefore, the task of mastering the unique capabilities of this literary language should be a key way to prevent individual isolation and foster a sense of community among learners.

목차

1. 서론: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내용 체계’의 ‘가치․태도’ 범주
2. 환경․생태교육의 갱신: 사회적 차원의 보충
3. 다문화 교육환경과 소수자 문제의 딜레마
4. 결론: 현대소설 교육의 미래와 우리 공동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훈. (2023).2022년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내용 체계’의 변화와 현대소설 교육의 과제. 한국문학논총, (), 381-420

MLA

김명훈. "2022년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내용 체계’의 변화와 현대소설 교육의 과제." 한국문학논총, (2023): 381-4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