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문에 나타난 자살과 그 의미 분석
이용수 54
- 영문명
- Analysis of Suicide and Its Implications in the Newspaper: Focusing on the analysis of newspaper editorials in the 1920s and 30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우신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4輯, 159~18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scourse produc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especially suicide in the 1920s and 30s. Suicide is a concept that reflects modern social signs and cultural changes and is the starting point for interpretat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compete.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d the suicide discourse form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focused on newspaper editorials dealing with the concept of suicide as a contemporary phenomenon.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henomenon of suicide and the emotions of the people of the time behind it through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official statements about suicid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aning of suicide revealed in the suicide discourse of modern newspapers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First, suicide as a social murder, second, suicide as a transitional phenomenon of civilization, and third, suicide as a personal/ethnic failure. Suicide discourses classified into these three types were analyzed to induce specific discourse effects by combining expressive, narrative, and value layers, respectively. Through the above work, it was confirmed that the suicide discourses produced and distributed by newspapers during the colonial period rearranged the public's perception in a specific direction.
목차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연구 과정과 방법
3. 자살의 유형과 이야기성 분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