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 불규칙 활용의 형성에 대하여
이용수 69
- 영문명
- On the Formation of ‘rʌ’ Irregular: Focusing on the ‘Nirɨda/Nirɨlda’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홍희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4輯, 75~10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study ‘rʌ(러)’ irregular of Modern Korean, which has gotten less attention than other irregular classes. The ‘rʌ’ irregular is a conjugation in which ‘irɨda(이르다), purɨda(푸르다), nurɨda(누르다)’ are combined with the vowel ending, which ‘r(ㄹ)’ is added, resulting in the conjugated forms that ‘irɨrʌ(이르러), purɨrʌ(푸르러), nurɨrʌ(누르러)’. The ‘rʌ’ irregular of Modern Korean is the irregular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p(ㅂ)’ irregular and ‘s(ㅅ)’ irregular. Because the ‘rʌ’ irregular isn’t the irregular conjugation formed by phonological motivations such as the changes of phonetic value and phonological phenomena. However, there is a limit that cannot be specifically discussed the motivations of forming the ‘rʌ’ irregular in previous studies. Thus, this study discussed how the ‘rʌ’ irregular of Modern Korean was formed by which motivations and gone through which processes of diachronic changes. According to the data of Middle Korean, it can be seen that the ‘rʌ’ irregular was composed of only color-adjectives such as ‘pɨrɨda(프르다), nurɨda(누 르다)’ in the 15th century, and was added ‘nirɨda(니르다)’ the 16th century, finally formed. In addition, it could analyze that the ‘rʌ’ irregular was formed by the non-phonological motivation of the convergence between paradigms. As a result, it comes to have the possibilities to solve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rʌ’ irregular.
목차
1. 서론
2. 러 불규칙 활용의 개념
3. 중세국어 러 불규칙의 활용 양상
4. 러 불규칙 활용의 형성 동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