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68혁명의 학생저항과 대학개혁

이용수 27

영문명
The Student Resistance of the ‘68 Revolution and University Reform: Focusing on the German Student Movement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정대성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제37권 제2호, 207~22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68혁명은 학생운동이나 대학비판의 영역을 훨씬 넘어서지만, 대학이라는 거점에서 출발해 사회 전 영역으로 폭발해 나갔다. 학생들은 기성 체제를 대변하는 대학부터 바꾸려고 했다. 독일에서도 학생저항이 대학의 변화를 추동한 핵심 요소였고, 학생들은 교수가 지배하는 권위주의적 대학에 반기를 들었다. 학내 결정구조에서 교수, 강사, 학생의 동등한 참여권 보장을 비롯한 포괄적인 대학민주화 요구를 내세웠고, 비판대학이라는 이름으로 대안적 교육의 실천에도 나선다. 비판대학은 대학 울타리 밖의 이슈를 과감하게 끌어안으며 수업에서 교수나 권위자 중심의 일방성을 탈피하고 소통과 토론을 중시하는 획기적인 실험이었다. 그러나 결국 비판대학도 학생저항도 당장 손에 잡히는 성과를 얻지는 못했다. 핵심 주장인 학내 결정구조의 3자동등권 관철은 실패했고 어디서든 교수가 다수파 권한을 확보했다. 하지만 개혁이 실패한 것은 아니었다. 비판과 저항이 만들어낸 새로운 대학에서는 강사도 학생도 결정 과정의 일원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학생저항은 교수지배라는 대학의 권위적인 구조를 뒤흔들어, 학내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인정하는 개혁이 성취되었다. 그것은 혁명의 실패로 보일 수 있지만, 대학의 모습을 새롭게 규정하는 혁신적 성공이었다. 그 유의미한 개혁을 추동한 기관차는 68의 학생저항이었다.

영문 초록

The gigantic landscape of the ‘68’ Revolution extended far beyond the realm of student movements or criticism of universities. However, it started from the base of universities and exploded into all areas of society. Students tried to change universities first. In Germany as well, student resistance was a key factor driving changes in universities, and students rebelled against authoritarian universities dominated by professors. They advanced a comprehensive demand for university democratization, including the guarantee of equal participation rights for professors, lecturers, and students in the decision-making structure within universities, and started practicing alternative education in the name of the Critical University. It was a groundbreaking experiment in boldly embracing issues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university, breaking away from the unilateral teaching method centered on professors or authorities and emphasizing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However, in the end, neither the Critical University nor the student protests were able to achieve immediate tangible results. In the decision structure within universities, which was a key argument, the implementation of equal rights among the three parties failed, and professors everywhere secured the majority authority. However, the reform did not fail. In the new universities birthed from the criticism and resistance of students,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are involv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Student protests shook the authoritative structures of faculty governance in universities, and reforms that recognize the voices of members within universities were achieved. It may be considered a failed revolution, but it was an innovative success that defined universities anew.

목차

Ⅰ. 머리말
Ⅱ. 학생저항과 SDS 대학개혁안
Ⅲ. 베를린 자유대학의 ‘비판대학’
Ⅳ. 학생저항과 대학개혁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대성. (2023).68혁명의 학생저항과 대학개혁. 교육사상연구, 37 (2), 207-225

MLA

정대성. "68혁명의 학생저항과 대학개혁." 교육사상연구, 37.2(2023): 207-2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