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퇴계(退溪)와 다산(茶山)의 마음[心]에 대한 이해와 공부

이용수 31

영문명
The Understanding of Mind/Heart (心) and Mind Practice of Toegye (退溪) and Tasan (茶山)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이유정 박혜영 김미소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제37권 제2호, 169~205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퇴계(退溪)와 다산(茶山)에게서 마음[心]에 대한 이해를 검토하고, 퇴계와 다산의 마음공부론을 비교하여 교육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퇴계와 다산은 세계의 이치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마음의 역할에 주목하였으며, 마음의 양태를 분명하게 구분하고 선한 마음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보았다. 마음공부의 요체인 경(敬)은 미발(未發)・이발(已發), 신독(愼獨), 사조설(四條說)에서 나타났다. 미발(未發)에 대한 퇴계와 다산의 관점은 ‘지향적 의식이 드러나지 않은 상태’와 ‘감정이 드러나지 않은 상태’라는 차이점을 지니지만, 양자는 모두 ‘의식이 깨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강조했으며 이러한 상태가 모든 마음의 활동[未發・已發]에 유지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신독(愼獨) 공부에 대하여 퇴계는 홀로 거처하는 상황에서도 삼가고 신중히 하는 공부를 중시했으나, 다산은 신독(愼獨)을 자신만 알 수 있는 마음속 일들을 돌이켜보아 부끄러움이 없도록 하는 수양으로 이해하였다. 경(敬)의 사조설(四條說)과 관련하여 퇴계는 성리학적 전통을 계승하되 정제엄숙(整齊嚴肅)을 중시함으로써 실천적인 경(敬) 공부를 강조했고, 다산은 정자의 입장을 비판하면서 마음의 집중을 통한 적극적인 사유를 중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마음이 인간교육의 궁극적인 토대임을 확인하였고, 의식이 깨어 있는 상태가 유지되는 마음교육, 학습자의 책임의식을 요구하는 마음교육, 일상적 실천에서 시작하는 마음교육의 의의를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understanding of mind/heart (心) of Toegye (退溪) and Tasan (茶山), compares their theories of mind practice, and derives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ir understanding. Toegye and Tasan focused on the role of the mind/heart to correctly perceive the world's li (理), clearly distinguished the aspects of the mind/heart, and emphasized efforts to develop a good mind. Jing (敬), which is the essence of mind/heart practice, is mentioned in the discussion on wei fa (未發)·yi fa (已發), shendu (愼獨), and four explanations of jing (四條說). Toegye and Tasan differed in that the former regarded wei fa (未發) as a state in which directional consciousness is not aroused, while the latter regarded it as a state in which emotions are not aroused. However, both emphasized maintaining an awake state of consciousness and believed that this state should be maintained in all activities of the mind/heart. Regarding shendu (愼獨), Toegye emphasized the practice of caution and prudence even when living alone. On the other hand, Tasan understood shendu (愼獨) as cultivating a state of not being ashamed when reflecting on matters that only oneself can know. Regarding the four explanations (四條說) of jing (敬), Toegye emphasized cultivating practical jing (敬) by prioritizing zhengqiyansu (整齊嚴肅). Tasan criticized Cheng Yi’s (程子) opinions and emphasized active thinking through concentration of the mind/heart. This study found that the mind/heart is the ultimate foundation of human education and revealed the significance of a mind/heart practice that maintains an awake state, requires the learner’s sense of responsibility, and begins with daily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퇴계와 다산의 마음[心] 이해
Ⅲ. 퇴계와 다산의 마음공부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유정,박혜영,김미소. (2023).퇴계(退溪)와 다산(茶山)의 마음[心]에 대한 이해와 공부. 교육사상연구, 37 (2), 169-205

MLA

이유정,박혜영,김미소. "퇴계(退溪)와 다산(茶山)의 마음[心]에 대한 이해와 공부." 교육사상연구, 37.2(2023): 169-2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