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키와 베커의 ‘예술계’(art world) 개념을 통한 사례 연구
이용수 162
- 영문명
- A Case Study through the Concept of Art World by Dickie and Becker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풍효설 이진우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제26집 2권, 51~7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술과 연관된 행위자와 그 구조가 예술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계란 개념에 대한 두 가지 시선인 디키와 베커의 논의를 이론적 틀로 삼았다. 이후, 중국 미술가인 우관중(吴冠中)을 단일 사례로 삼고 역사적 자료를 포함한 다양한 2차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예술계의 논의 안에서 우관중의 미술작품은 권위 있는 매개자 와 기관에 의해 정의되고 해석되었으며 그것의 가치를 점차 인정받았다. 특히, 우관중의 사례는 중국 정부의 정책 선회가 예술계의 제도적 구조와 구성원의 작품 평가 기준의 변화를 추동하고 이는 궁극적으로 작가와 작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van Maanen(2009)가 시도한 예술계의 개념적 비교를 사례를 통하여 구체화하는 동시에 예술계와 그것이 외접하는 사회와의 관계성에 대한 쟁점화를 시도한 측면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actors and structures related to art on the works of art. To do so, we used the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the concept of the art world by Dickie and Becker. By considering Wu Guanzhong, a Chinese artist, as a single case, various secondary data including historical resources were collected. Within the discourse of the art world, Wu Guanzhong's artwork was defined and interpreted by authoritative intermediaries and institutions, and its value was gradually recognized. In particular, the case of Wu Guanzhong demonstrates that a policy reversal by the Chinese government drives changes i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works of art and the institutional structure of the art world, ultimately influencing artists and their works. Thus this article theoretically contributes to attempting to specify the conceptual comparison of the art world suggested by van Maanen (2009) through the case with contextua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world and society that intersects with i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결과 및 분석
Ⅳ. 논의: 두 가지 시선의 예술계와 우관중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f Establishing a Mainstream Ideology in Relation to the Novo New Year Painting Movement in China
- 신유물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회화적 수행 연구
- 스티븐 버드 작품에 나타난 내러티브 연구
- 1960-70년대 공예산업정책과 관광민예품
- 예비 문화예술교육사 대상 비대면 교육의 만족도 평가
- 이성자 회화에 나타난 초월의 장으로서 우주(Cosmos) 연구
- 조형디자인연구 제26집 2권 목차
- A Study on the Expressions of Buddhist “Emptiness”Concept in Chinese Participatory Art
- 디키와 베커의 ‘예술계’(art world) 개념을 통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