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Cosmos as a Field of Transcendence in Seund Ja Rhee’s oeuvres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김소희 정연심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제26집 2권, 11~2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성자의 회화에서 나타난 우주가 물질과 현상 또는 천문학적 대상으로서가 아닌 물질과 정신, 동양과 서양, 인간과 기계 등 작가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상반된 개념들을 뛰어넘는 초월의 장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해 본 논문은 크게 두 가지의 본문으로 논의하고 있다. 첫째, 이성자의 우주 회화가 등장하는 사회, 문화적 맥락을 우주시대 개막과 함께 나타난 당대 유럽 작가들의 우주 작품들과 함께 살펴보고, 둘째, 이성자 우주 회화의 토대가 되는 자연과 기호를 통해 이원론적인 개념들을 초월하는 우주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Cosmos in Seund Ja Rhee’s paintings is not a material, phenomenal, or astronomical object, but a field of transcendence by combining the opposing dichotomy. Seund Ja Rhee works on dismantling opposing ideas of matter and spirit, past and present, man and machine etc. that appear in her works of Cosmos. To discuss the aforementioned study, this research paper is comprised of two main chapters. The first chapter considered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Seund Ja Rhee’s paintings which deal with Cosmos along with the works of European artists which emerged and influenced by the Space-Age, Second Chapter analyzed the Cosmos that transcends dualistic concepts through nature and symbols, which are the foundation of Cosmos oeuvres.
목차
Ⅰ. 서론
Ⅱ. 우주시대(Space-Age)의 도래와 전후 유럽 미술
Ⅲ. 이성자의 우주(Cosmos)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f Establishing a Mainstream Ideology in Relation to the Novo New Year Painting Movement in China
- 신유물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회화적 수행 연구
- 스티븐 버드 작품에 나타난 내러티브 연구
- 1960-70년대 공예산업정책과 관광민예품
- 예비 문화예술교육사 대상 비대면 교육의 만족도 평가
- 이성자 회화에 나타난 초월의 장으로서 우주(Cosmos) 연구
- 조형디자인연구 제26집 2권 목차
- A Study on the Expressions of Buddhist “Emptiness”Concept in Chinese Participatory Art
- 디키와 베커의 ‘예술계’(art world) 개념을 통한 사례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