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지연의 「自强主義」와 『新民說』

이용수 31

영문명
Jang Jiyeon’s “Jagangjuui” and Xinminshuo : Self-Strengthen by Unauthorized Borrowing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임상석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第65輯, 257~28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한국 계몽운동을 대변하는 논설 가운데 하나인 장지연의 「자강주의」가 양계초의 『신민설』을 차용하여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음을 분석했다. 양자의 대조를 통해 전자의 70% 가량이 후자의 차용이었음을 확인했는데, 그럼에도 장지연은 전자에 “저자 장지연”이라 명기했다. 대한제국기의 대표적 계몽운동 단체인 대한자강회의 공식 기관지인 『대한자강회월보』의 전체적 취지를 천명한 글이 「자강주의」였고, 이것이 차용으로 구성된 것은 일종의 탈선이라 할 수 있다. 국가사상, 진취와 모험 등의 근대적 가치를 한자권 전통의 文言 글쓰기를 활용해 주장했다는 점에서 「자강주의」는 식민지 한자권의 범위에 속하는 성과물이기도 하다. 양계초와 공유한 보편의 문언이 국적과 민족이라는 새로운 절대적 가치에 위배 될 수 있다는 점을 장지연은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사대와 조공의 조선에서 古文家로서 성장한 장지연이 국적을 전제로 한 자강의 국한문체 언론인이란 새로운 자기정체성을 온전하게 내면화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자강주의」로 재구성된 『신민설』의 대안은 자강의 함의와 영향력을 강화하는 단기적 역할을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빌려온 “자강주의”라면 장기적으로 자강의 목표는 멀어질 수밖에 없다. 식민지 한자권에서 진행된 대한제국기 계몽운동에서 제일의 당면과제는 제국주의였으나 중화의 그늘도 여전한 질곡이었음을 빌려온「자강주의」가 증명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at Jang Jiyeon’s “Jagangjuui”, the one of representative leading articles in Korean enlightenment movement, is composed of reconstituting and borrowing of Liang Qicao’s Xinminshuo. Through mutual comparison, it is proved that almost 70% of the former’s sentences are borrowed from the latter but Jang specifies himself as the author of the former. The former is publicized in Daehanjaganghoe Monthly, the bulletin of the most prestigious enlightenment movement society, Daehanjaganghoe to announce its own official purposes and principles. Considering its foremost purpose, self-strengthen and independent, the former’s composing process, unauthorized borrowing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deviation. Also, adopting traditional rhetorics of Literary Sinitic to propagate modern ideas such as nationalism, progressivism and adventurous spirit, the former can be belong to products of Colonial Sinographic Sphere. It is clear that Jang did not recognize the risk of Literary Sinitic, the solid attribute shared by Liang, could be harmful to essential task of Korean enlightenment movement, nationality and an ethnic community. Since the greater part of Jang’s self-identity had matured in Joseon, the nation of toadyism and tributary system, he met difficulties in self transition, from universal Literary Sinitic writer, a traditional intellectual in Sinographic sphere, to a national journalist in Korean enlightenment media. For the moment, the Jang's “Jagangjuui” as the borrowing reconstitution of Liang’s Xinminshuo could contribute to enhance effects and contents of Korean self-strengthening but borrowed “Doctrine of Self-strengthen” would damage self-strengthening and independent in the end. The first priority of Korean enlightenment movement in Colonial Sinograph Sphere is confrontation to imperialism, yet borrowing “Jagangjuui” demonstrates remaining shadows of Sinocentrism.

목차

1. 장지연과 「자강주의」
2. 빌려온 「자강주의」와 식민지 한자권
3. 차용과 국적
4. 중국의 ‘신민’이 한국의 ‘자강’이 되기까지
5. 소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상석. (2023).장지연의 「自强主義」와 『新民說』. 동양한문학연구, (), 257-280

MLA

임상석. "장지연의 「自强主義」와 『新民說』." 동양한문학연구, (2023): 257-2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