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尙書』<無逸>의 내용과 가치

이용수 40

영문명
The Contents and Values of 『Sangseo』: Focusing on Koryo and Joseon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유영옥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第65輯, 151~19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無逸>은 周公이 成王에게 지어 바친 訓體의 글이다. 그러나 안일에 대한 경계는 성왕뿐만 아니라 古今의 어느 군주에게도 적용되는 포괄적인 정치 덕목이기에, <무일>은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매우 중시되었다. 周公은 ‘嗚呼’를 7번 써서 <무일> 총 19장의 내용을 역동적으로 交織하였다. 또 殷의 三宗을 예시하고 文王의 무일을 詳言하여 成王이 훈계를 가납해주길 호소하였다. <무일>의 내용은 세 가지다. 첫째는 稼穡의 어려움을 군주가 先知하는 것으로, 이는 <무일>의 강령에 해당한다. 둘째는 ‘無逸’이 ①勤勉과 節儉을 뜻하고, ②주색ㆍ구경ㆍ유람ㆍ사냥 등에 빠지지 말라는 뜻이며, ③항상 공손하고 공경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三宗과 文王은 無逸하여 享國이 길었고, 그에 반한 殷王들은 享國이 짧았다는 것인데, 조선에서는 無逸과 享國의 상관성에 대체로 동의하였다. 고려에서는 <무일>이 태조의 「훈요십조」에서부터 언급되어, 베껴 쓰거나 그림으로 제작되었고, 경연에서도 자주 진강되는 등 『상서』 총 58편 중 그 비중이 가장 높았다. 여말선초 성리학의 유입으로 <洪範>과 <大禹謨> 15장이 특히 중시되면서 <무일>의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하향되었지만, 조선에서도 보편적인 정치철학으로서의 <무일>의 가치는 변함없이 높았다. 조선시대에는 殿閣의 명칭에 ‘무일’이 사용되었고 병풍과 그림도 계속 제작되었다. 특히 <無逸圖>는 <山水圖>와 대비되어 국가 흥망의 한 상징이 되었다. 무엇보다 조선에서는 농사와 관련된 <무일>의 언급이 가장 많았는데, 이때 <무일>은 <七月>詩와 짝하여 운위됨으로써 親耕 親蠶으로까지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되었다.

영문 초록

As a chapter of 『Sangseo』, contains disciplinary writings that Zhou-gong made and dedicated to king Cheng. Having the purpose of presenting precaution against complacency, was about a universal philosophy of politics that should be applied to monarchs of all different times including king Cheng. It was, of course, highly appreciated in Korea as well. Consisting of 19 sections in total, has contents dynamically described, where Zhou-gong uses a word of exclamation like 'oho' as many as 7 times and gives the examples of Muil or non-complacency that were shown by three kings of the Yin nation and king Wen of the Zhou nation. In terms of content,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hemes. The first is that the monarch should have an advance knowledge of difficulty in farming, which belongs to the principles of . The second is about critical meanings of 'Muil' such as ①maintaining diligence and frugality, ②refraining from obsession with indulgence, sightseeing, excursion or hunting, and ③keeping politeness and respect towards others. And, the third is that Hyangguk or the king's reign lasts long with Muil, but ends in a short time without Muil. In Koryo, its founder's written 「Hunyo Sipjo」 has mentioned in it. In the country, also, the chapter of discipline was more often discussed during Gyeongyeon or the king's study session in which was treated most important among total 58 chapters of 『Sangseo』. In Joseon, was recognized as a set of ideas regarding the universal philosophy of politics so that it was valued as highly as in Koryo. In the Joseon period, was considered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how the rise and fall of state is like, in contrast to . Most notably, it was prevalent at the time that was associated with verse when it was talked about.

목차

1. 머리말
2. <무일>의 구성과 내용
3. <무일>의 가치와 비중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영옥. (2023).『尙書』<無逸>의 내용과 가치. 동양한문학연구, (), 151-190

MLA

유영옥. "『尙書』<無逸>의 내용과 가치." 동양한문학연구, (2023): 151-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