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대 조선어 학습서에 나타난 오류 표현과 원인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차윤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5권 3호, 277~29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errors and analysis of the reasons of the errors appeared in the study book of the Chosun language. In the above we looked through the errors appeared in the study book of the language of Chosun and the reasons of the errors. In phonological errors, there are consonant errors and vowel errors. Both of the phonological errors were caused by the negative transfer of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Japanese to the learner's target language, Korean, which resulted from the phon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mong the consonant errors especially, the errors of using aspirated plosive in the place of plain plosive stemmed from the learner's overgeneralization of aspirated plosive. In the grammatical errors, there are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 negation and word ending. In this case, the grammatical knowledge of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caused the interference on the learners' acquisition of the target language and the learner seemed to overgeneralize certain grammatical expressions. In lexical errors, both the negative transfer and overgeneralization occurred at the same time. The learner’s knowledge of lexical structures of the native language caused the negative transfer in which the learner produced the expressions that contained the same lexical structure as his or her native language. Meanwhile learners overgeneralized certain vocabularies, which expanded certain categories of vocabularies.
목차
1. 들어가기
2. 자료의 성격
3. 음운적 오류
4. 문법적 오류
5. 어휘적 오류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 근대 조선어 학습서에 나타난 오류 표현과 원인 분석
- 음절 말 자음과 관련된 변동규칙 교육 방안
- 한국어 유의어의 의미 변별과 교육 방안
- 한국어 교실 교사-학습자 간 대화에 나타난 의사소통 문제 유형
- 한국어 읽기․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한국어 말하기 시험의 유형 및 채점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의 교수-학습 순서 연구
- <한국어교육> 편집위원회 규정
- 회 칙 (1999. 9. 1 개정)
- <한국어교육> 투고 논문 평가서
- 중국 한국학의 흥기와 전망
-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Ways of Improv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the U.S.
- 한국어 교육용 어휘 교재 개발 연구
- 피동문 동작주 표시 제약
- 구성주의 다매체 교자재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학습자 중심 워크북 개발 방안 연구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주요 활동(2004. 5 - 2004. 8)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입회 원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