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유의어의 의미 변별과 교육 방안
이용수 56
- 영문명
- Guidelines for Teaching Korean Synonym to Foreign 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문금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5권 3호, 65~9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discuss teaching methods that effectively teach the differences between synonyms. Korean teachers desperately need basic materials to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explain pairs of synony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ose basic materials, special synonym lists, and teaching methods. First, this paper concretely discusses processes (four stages) and methods of differentiating meanings of Korean synonyms. The paper clarifies criteria for differentiating between synonyms and then, following the standard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ynonyms by separating analyzed synonyms lists according to difficulty levels. In the next chapter, this paper classifies pairs of synonyms from Korean language textbooks by difficulty levels in order to make special synonym lists required to effectively teach Korean vocabulary. This paper presents proper methods for distinguishing pairs of synonyms necessary for foreigners studying Korean and particularly utilizes corpus for differentiation of synonym pairs by showing differences in combining characters. In the following chapter, this paper presents both concrete teaching methods divided by levels of synonyms, as well as an example of an intermediate level learning model.
목차
1. 머리말
2. 한국어 유의어의 의미 변별
3. 한국어 유의어의 학습 목록
4. 결합 구성의 차이에 따른 유의어의 의미 분석
5. 유의어의 교수법과 교육 모형
6.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 근대 조선어 학습서에 나타난 오류 표현과 원인 분석
- 음절 말 자음과 관련된 변동규칙 교육 방안
- 한국어 유의어의 의미 변별과 교육 방안
- 한국어 교실 교사-학습자 간 대화에 나타난 의사소통 문제 유형
- 한국어 읽기․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한국어 말하기 시험의 유형 및 채점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의 교수-학습 순서 연구
- <한국어교육> 편집위원회 규정
- 회 칙 (1999. 9. 1 개정)
- <한국어교육> 투고 논문 평가서
- 중국 한국학의 흥기와 전망
-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Ways of Improv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the U.S.
- 한국어 교육용 어휘 교재 개발 연구
- 피동문 동작주 표시 제약
- 구성주의 다매체 교자재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학습자 중심 워크북 개발 방안 연구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주요 활동(2004. 5 - 2004. 8)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입회 원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