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말하기 시험의 유형 및 채점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이용수 26
- 영문명
- An investigation into the basic issues of developing speaking test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식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5권 3호, 209~23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understanding the basic principles for developing the speaking test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t first reviews the different formats and methods of speaking tests. Three types of speaking tes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est administration and scoring: 1) human administration and human scoring, 2) machine administration and human scoring, and 3) machine administration and machine scoring. Based on the speaking test review, it discusses one type of the task-based informationgap speaking test in order to make sure that the speaking test is communicative. It then evaluates and discusses a range of scoring schemes for speaking tests with regards to the holistic and analytic approaches. It finally develops a couple of sample rating schemes for Korean speaking tests, and makes some suggestions in order to develop a proper Korean speaking test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목차
1. 서론: 수행평가로서의 한국어 말하기 시험의 필요성
2. 외국어 말하기 시험의 유형 및 방법
3. 말하기 평가의 채점기준
4. 종합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 근대 조선어 학습서에 나타난 오류 표현과 원인 분석
- 음절 말 자음과 관련된 변동규칙 교육 방안
- 한국어 유의어의 의미 변별과 교육 방안
- 한국어 교실 교사-학습자 간 대화에 나타난 의사소통 문제 유형
- 한국어 읽기․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한국어 말하기 시험의 유형 및 채점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의 교수-학습 순서 연구
- <한국어교육> 편집위원회 규정
- 회 칙 (1999. 9. 1 개정)
- <한국어교육> 투고 논문 평가서
- 중국 한국학의 흥기와 전망
-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Ways of Improv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the U.S.
- 한국어 교육용 어휘 교재 개발 연구
- 피동문 동작주 표시 제약
- 구성주의 다매체 교자재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학습자 중심 워크북 개발 방안 연구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주요 활동(2004. 5 - 2004. 8)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입회 원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