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기도 공립박물관과 공공가치 창출
이용수 152
- 영문명
- Gyeonggi Province’s Local Museums and Public Value Creation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변지영 정헌주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4권 제2호, 385~41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90년대 이후 여러 국가에서 소위 “박물관의 붐”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한국도 예외는 아니었다. 특히 공립박물관의 급격한 증가는 지역 고유의 과거와 문화 재현, 지역 정체성의 확립, 지역공동체 활성화, 지역산업의 홍보, 관광객 유치 등 지역의 다양한 사회・경제적인 공공가치(public value) 실현을 위해 지역박물관을 경쟁적으로 건립하고자 한 지방자치단체들의 열망이 표출된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지역 공립박물관은 어떠한 공공가치를 추구하며, 그러한 가치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본 연구는 1996년부터 2022년까지 경기도에서 설립・운영된 55개의 공립박물관이 창출하고자 한 공공가치와 그 시간적 변화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Mark Moore의 공공가치 창출(public value creation) 개념과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공공조직으로서 지역 공립박물관이 추구하는 공공가치를 지역 정체성 재구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로 나누어 살펴본다. 먼저, 지역 정체성 재구성이라는 공공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박물관의 노력을 시공간적 지향성, 전시주제의 속성과 복합성으로 나눠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공립박물관이 지역산업과 전시를 어떻게 연계하는지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경기도 내 공립박물관의 다수가 시간적 지향은 과거지향형이지만, 공간적 지향은 지역내향형과 지역외향형 공립박물관의 수가 유사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공간적 지향성을 교차분석하였을 때, 다른 유형에 비해 과거지향형과 지역내향형이 결합된 공공박물관이 가장 많이 설립・운영되었다. 전시주제의 경우, 향토문화를 주제로 한 공립박물관이 다수였으며, 복합테마형보다는 단일테마형 공립박물관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공립박물관에 대한 지역민의 지지와 정당성을 획득하려는 시도는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제도로서 공립박물관이 창출하고자 하는 공공가치와 그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추적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1990s witnessed “the museum boom” in many countries and South Korea was no exception. Especially, the number of public museums grew dramatically, which may reflect local governments’ desire to create public values by establishing public museums that help shape local identities, build more culturally vibrant communities, and promote local business and tourism. What local public values are public museums to promote and how these values change over time? This study analyzes 55 public museums in Gyeonggi Province and investigates public values that these museums are to create from 1996 to 2022. Specifically, this study, based on the concept of public value creation by Moore and prior works, emphasizes two public values such as reconstruction of local identities and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as what local public museums aim to create. As for reconstruction of local identities, the efforts of local public museums are divided into three: temporal and spatial orientation, main themes of display, and their complexities. As for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it is analyzed if local industries are linked with themes of display. The results show that most local public museums focus on past cultural heritages in their local areas with single themes. Meanwhile, it is found that only a small number of museums try to link with local industries as efforts to enhance legitimacy and supports from local residen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investigating what public values local public museums in Gyeonggi Province as social institutions aim to create and their changes over tim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Ⅲ. 공립박물관과 공공가치 창출: 분석틀
Ⅳ. 경기도 공립박물관의 공공가치 추구 유형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섬 지역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신안 만재도 지질공원 지정 필요성과 기대효과
- 19세기말-20세기초 관문도시 샌프란시스코의 형성과 환태평양 메가지역의 연계성
- 해양관광축제의 특성과 글로벌 연계 발전방안
-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다차원적 심리적 유연성 척도(K-MPFI) 타당화 연구
- 로컬 문화산업에 투영되는 지역의 정치경제학
- 칸트철학에서 사물자체 개념의 운동과 의미
- 경기도 공립박물관과 공공가치 창출
- 선원 직업윤리의 법적 기초와 직업윤리 강화방안 연구
- 역량 기반 교육 성과관리를 위한 교과 기반 환류시스템 설계 사례 연구
- 연안크루즈 해양관광을 통한 부산 블루투어리즘 구상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 관련 연구 동향
- 지운(知雲) 유동수 선생의 집단상담 개입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명사구 계층을 통해 본 한・일 수동표현의 대응양상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2호 목차
- More than Intervention Effects: Pragmatic Accounts of an Embedded why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