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양관광축제의 특성과 글로벌 연계 발전방안
이용수 283
-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Marine Tourism Festival and Development Plan for Global Connection - Focusing on Gijang Anchovy Festival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공미희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4권 제2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기장멸치축제를 중심으로 해양관광축제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축제와 지역사회의 실태 및 지방공동체 축제 특성에서 드러난 현상을 바탕으로 기장멸치축제의 활성화방안 및 세계화로의 연계발전에 대해서 모색했다. 일제강점기 기장 어민들이 주로 잡은 해산물은 멸치, 갈치, 붕장어, 고등어, 광어, 상어, 조기, 미역, 우뭇가사리 등이었다. 멸치는 일본인이 어업의 대상으로 삼은 ‘중요 수산물’ 중의 하나였다. 대변은 일본인 어부들에 의해 동력선이 유입되고 기선유자망방식이 도입되어 기장 대멸치의 산지가 되었다. 현재 대변마을 유자망어선은 12척이 운용되며 1척당 1선주로서 12명의 선주가 있다. 대변항에서의 멸치잡이는 전국 멸치유자망 어업 어획고의 6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멸치를 소재로 개최하는 기장멸치축제는 1997년 제1회 대변멸치축제로 시작되었다. 기장멸치축제는 축제기간 동안 외래 방문객에게 볼거리, 먹거리 등을 제공하여 지역 이미지를 제고시키고, 지역민의 화합축제를 통한 대외 경쟁력 확보와 대내적인 홍보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해 왔다. 또 기장멸치축제를 통한 다양한 해양・어촌관광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지역민의 문화관광적 자긍심을 고조시켰다.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니지만, 반면 기장멸치축제와 지역사회의 실태에 대해서는 제각기 입장이 달랐다. 주민들의 인터뷰에 의하면, 기존 보고서와는 다른 실태도 볼 수 있었다. 축제기간동안 멸치 까기를 비롯한 주민들의 행사협조 자발성, 기장군청 직원들의 축제주변의 청소협조, 결산보고서 공개 및 배당, 바닷속 쓰레기 처리에 대한 현실 등이었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의 실태에서 드러난 현황을 바탕으로 기장멸치축제의 활성화를 위한 10가지 방법제시와 글로벌 연계 발전방안 10가지를 제시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jang Marine Tourism Festival, focusing on the Gijang Anchovy Festival among local festivals. And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of festivals and local communities and the phenomena revealed i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festivals, we sought ways to revitalize the Gijang Anchovy Festival and its development in connection with globaliz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main seafood caught by Gijang fishermen was anchovy, hairtail, conger eel, mackerel, flounder, shark, croaker, seaweed, and agar-agar. Anchovies were one of the ‘important marine products’ that the Japanese fished for. Daejeon became a production area for large anchovies in Busan due to the introduction of motorized boats and the introduction of the steamer drift net method by Japanese fishermen. Currently, 12 drift net fishing boats are operated in Daebyeon Village, and there are 12 owners, one owner per boat. Anchovy fishing in Daebyeon Port accounts for about 60% of the total catch of the anchovy caster nets nationwide, and the Gijang Anchovy Festival, held using this anchovy, started in 1997 as the first Daebyeon Anchovy Festival. The Gijang Anchovy Festival has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local image by providing sights and food to foreign visitors during the festival, securing external competitiveness through a harmony festival for local residents, and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through internal publicity. In addition, various marine and fishing village tourism programs were organized through the Gijang Anchovy Festival to enhance the cultural tourism pride of local residents.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y have these characteristics, each had a different position on the Gijang Anchovy Festival an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loc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residents' interviews, it was also possible to see the reality different from the report. During the festival, residents' willingness to cooperate with events such as peeling anchovies, Gijang-gun office staff's cooperation in cleaning around the festival, disclosure of settlement reports and dividends, and the reality of garbage disposal in the sea. Finally,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revealed in the actual situation of the local community, 10 ways to revitalize the Gijang Anchovy Festival and 10 ways to develop global connection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기장 해양관광축제의 특성
Ⅲ. 기장멸치축제와 지역사회의 실태
Ⅳ. 기장멸치축제의 활성화 및 글로벌 연계 발전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섬 지역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신안 만재도 지질공원 지정 필요성과 기대효과
- 19세기말-20세기초 관문도시 샌프란시스코의 형성과 환태평양 메가지역의 연계성
- 해양관광축제의 특성과 글로벌 연계 발전방안
-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다차원적 심리적 유연성 척도(K-MPFI) 타당화 연구
- 로컬 문화산업에 투영되는 지역의 정치경제학
- 칸트철학에서 사물자체 개념의 운동과 의미
- 경기도 공립박물관과 공공가치 창출
- 선원 직업윤리의 법적 기초와 직업윤리 강화방안 연구
- 역량 기반 교육 성과관리를 위한 교과 기반 환류시스템 설계 사례 연구
- 연안크루즈 해양관광을 통한 부산 블루투어리즘 구상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 관련 연구 동향
- 지운(知雲) 유동수 선생의 집단상담 개입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명사구 계층을 통해 본 한・일 수동표현의 대응양상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2호 목차
- More than Intervention Effects: Pragmatic Accounts of an Embedded why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