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칸트철학에서 사물자체 개념의 운동과 의미
이용수 81
- 영문명
- The movement of the concept Ding an sich in Kant's philosophy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종식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4권 제2호, 87~11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칸트철학, 특히 『순수이성비판』에서 사물자체(Ding an sich) 개념의 운동과 의미를 탐구할 것이다. 사물자체 개념은 칸트철학에서 핵심 개념이다. 사물자체 개념은 자연과학의 정당화와 도덕철학의 기초를 위해 필수적인 개념이다. 사물자체 개념이 없다면, 지식의 제한과 실천이성의 요청(대전제)이 결합되는 일은 칸트 『순수이성비판』에서 불가능한 임무가 될 것이다. 사물자체 개념은 이론 이성에 대한 실천 이성의 우위, 자유에 근거한 도덕철학을 가능하게 한다. 칸트의 사물자체 개념은 경험적 실재론과 선험적 관념론의 기초를 놓는다. 자연 형이상학과 도덕 형이상학의 가능성은 사물자체 개념에 근거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선험적 감성론, 분석론, 변증론에서 사물자체 개념의 다의성을 탐구하기 위해서 사물자체 개념의 운동을 추적할 것이다. 선험적 관념론은 우리가 오직 현상의 인식만을 지닐 뿐 사물자체의 인식은 지니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험적 감성론에서 우리의 마음은 선험적 객체들, 즉 사물자체들에 의해서 촉발된다. 객체들은 감성에 의해서 우리에게 주어진다. 우리의 마음에 의해서 촉발되는 사물자체 개념은 칸트의 비판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물 자체에 의한 촉발을 전제하지 않는다면, 선험적 관념론과 자유에 기초한 도덕철학은 성립될 수 없다. 선험적 분석론에서 사물자체 개념은 지식 또는 인식을 제한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선험적 변증론에서 사물자체 개념은 자유를 통해서 도덕철학을 정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식으로 사물자체 개념은 다양한 의미를 지니게 되는데, 사물자체 개념은 『순수이성비판』에서 논의가 전개되는 각 단계를 통해서 그 의미가 변화한다. 사물자체 개념은 하나의 고정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선험적 감성론과 선험적 분석론, 선험적 변증론의 각 단계마다 사물자체가 스스로의 운동을 통해서 다양한 의미들을 지니게 된다. 의미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사물자체 개념은 인식과 도덕 사이의 단절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물자체 개념은 인식과 도덕 사이를 연결하는 홍예석이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will investigate the problems of the movement of the concept Ding an sich (thing itself) in Kant's philosophy, especially in Critique of pure reason. The concept Ding an sich is the key concept in Kants philosophy. Ding an sich is the necessary concept for justification of natural science and foundation of moral philosophy. Without the concept Ding an sich, the combination of the restriction in knowledge with the postulat of practical reason is an impossible task in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The concept Ding an sich makes the superiority of practical reason over theoretical reason and the foundation stone of freedom, morality possible. Kant's concept Ding an sich lays the foundation stone of empirical realism and transcendental idealism. The possibility of metaphysics of nature and morality is based on the concept Ding an sich. So in this paper I will take up the concept of the Ding an sich, and investigate on the movement of the concept Ding an sich to explore the equivocality of the concept Ding an sich in transcendental aesthetic, transcendental analytic, and transcendental dialectic. Transcendental idealism means that we have cognition only of appearances, not of Dinge an sich. Our mind is affected by the transcendental objects, Ding an sich in transcendental aesthetic. Objects are given to us by means of sensibility. The concept Ding an sich which is affected by our mind is the most important motif in Kants critical philosophy. Without presupposing the affection by Ding an sich, transcendental idealism and the moral philosophy under freedom could not be established. In transcendental analytic, Ding an sich is the limiting concept (Grenzbegriff) of knowledge or cognition. But in transcendental dialectic, the concept Ding an sich plays the role of the foundation stone of moral philosophy by the means of freedom. In this way the concept Ding an sich has various meanings which possess through three phases at discussions in Critique of pure reason. Therefore The concept Ding an sich has not a fixed meaning, but various meanig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oncept Ding an sich at three phases at discussion in transcendental aesthetic, and transcendental analytic, transcendental dialectic. Therefore the concept Ding an sich makes us the bridge between cognition and moralit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oncept Ding an sich is the arch stone of linking between knowledge and morality.
목차
Ⅰ. 머리말
Ⅱ.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와 사물자체 개념
Ⅲ. 사물자체 개념의 운동과 의미의 다양성
Ⅳ. 「감성론」에서 촉발의 근거로서의 사물자체
Ⅴ. 「분석론」에서 한계개념으로서의 사물자체
Ⅵ. 「변증론」에서 자유와 도덕의 근거로서의 사물자체
Ⅶ. 맺는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섬 지역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신안 만재도 지질공원 지정 필요성과 기대효과
- 19세기말-20세기초 관문도시 샌프란시스코의 형성과 환태평양 메가지역의 연계성
- 해양관광축제의 특성과 글로벌 연계 발전방안
-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다차원적 심리적 유연성 척도(K-MPFI) 타당화 연구
- 로컬 문화산업에 투영되는 지역의 정치경제학
- 칸트철학에서 사물자체 개념의 운동과 의미
- 경기도 공립박물관과 공공가치 창출
- 선원 직업윤리의 법적 기초와 직업윤리 강화방안 연구
- 역량 기반 교육 성과관리를 위한 교과 기반 환류시스템 설계 사례 연구
- 연안크루즈 해양관광을 통한 부산 블루투어리즘 구상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 관련 연구 동향
- 지운(知雲) 유동수 선생의 집단상담 개입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명사구 계층을 통해 본 한・일 수동표현의 대응양상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2호 목차
- More than Intervention Effects: Pragmatic Accounts of an Embedded why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