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량 기반 교육 성과관리를 위한 교과 기반 환류시스템 설계 사례 연구
이용수 287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Design of Course-Embedded Feedback System for Performance Managemen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안정민 박수미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4권 제2호, 223~25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까지 국내 대학들이 역량 기반 교육을 위해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운영하는 데에 집중하였다면, 이제는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각 층위에서 역량 기반 교육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성과를 점검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여러 층위 중 교과목 단위에서 역량 기반 교육성과 관리 방안에 관심을 두고, 학기별로 산출되는 강의계획서, 강의평가, CQI 보고서의 연동 설계개발 방법을 제안하였다. 설계개발의 큰 방향은 교수자가 강의계획서와 CQI 작성을 통해 역량 기반 교육의 목표설정―운영―평가―개선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연관성과 환류에 대해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ADDIE 모형을 기초로 2020년 3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약 1년 6개월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설계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계획서 입력 시 교과목 기반 평가설계(CEA) 개념을 적용하여 역량 기반 교육목표와 학습성과를 연동하도록 설계하였고, 교수자가 교육목표 달성 준거를 직접 설정하도록 하였다. 둘째, 강의평가 시 교과목에 해당하는 핵심역량 진단을 실시하고 전공역량 함양도를 측정하였다. 셋째, CQI 보고서는 교수자의 입력 영역을 최소화하는 대신 수업 운영 결과를 총체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시스템에서 보고서를 제공하고 역량 기반 교육목표 달성 결과가 표시되도록 하였다. 시스템 설계안은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개발되었으며, 사용성 평가와 실제 사용자의 의견수렴을 거쳐 수정․보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 개발된 강의계획서와 CQI 보고서의 구성요소, 주요 화면 등을 제시하였으며,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맥락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업설계, 수업운영, 평가 및 개선의 각 과정이 분절된 요소가 아닌 하나의 체제(System)로 인식되고, 역량 기반 교육의 환류체계로 기능하길 기대한다. 나아가 교육과정 영역을 넘어 보편적인 역량 기반 교육 운영 모델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If domestic universities have focused on re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it is now necessary to discuss ways to check the performanc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s study was interested in performance management measure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at each course, and proposed a method for developing linked design of lecture plans, lecture evaluations, and CQI reports calculated by semester. The major direction of design is that to make professors aware of the order, relevance, and feedback of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goal setting-operation-evaluation-improvement process through lecture plans and CQI preparation. Based on the ADDIE model,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a year and a half from March 2020 to September 2021, and the specific design methods are as follows. Firstly, when entering a lecture plan, the concept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CEA) is applied to link competency-based educational goals with learning outcomes, and professors directly ensure compliance with educational goals. Secondly, When students evaluate lectures, they are required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the class has achieved core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Thirdly, The CQI report provide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class operation results, aiming to display the achievemen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goals without minimizing the input from professors. The system design plan was finally developed after an expert review, and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and opinion collection. This study presents the components and main screens of the final developed lecture plan and CQI report, and proposes considerations for system construction and ope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역량 기반 강의계획서 및 CQI 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섬 지역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신안 만재도 지질공원 지정 필요성과 기대효과
- 19세기말-20세기초 관문도시 샌프란시스코의 형성과 환태평양 메가지역의 연계성
- 해양관광축제의 특성과 글로벌 연계 발전방안
-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다차원적 심리적 유연성 척도(K-MPFI) 타당화 연구
- 로컬 문화산업에 투영되는 지역의 정치경제학
- 칸트철학에서 사물자체 개념의 운동과 의미
- 경기도 공립박물관과 공공가치 창출
- 선원 직업윤리의 법적 기초와 직업윤리 강화방안 연구
- 역량 기반 교육 성과관리를 위한 교과 기반 환류시스템 설계 사례 연구
- 연안크루즈 해양관광을 통한 부산 블루투어리즘 구상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 관련 연구 동향
- 지운(知雲) 유동수 선생의 집단상담 개입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명사구 계층을 통해 본 한・일 수동표현의 대응양상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2호 목차
- More than Intervention Effects: Pragmatic Accounts of an Embedded why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