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수업 과정에서 보여지는 ‘수학적 주목하기(Mathematical Noticing)’
이용수 51
- 영문명
- Mathematical Noticing of Two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in the Course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Reflecting on Lesson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진아 이수진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1권 제3호, 561~58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두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과정에서 보여지는 개인 인지적 측면에서의 수학적 주목하기가 수업 설계, 실행, 성찰의 과정을 거쳐서 사회적 상호작용, 물질적 자원 및 교실 관행에 의해 구성, 조직, 그리고 변화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학습 목표를 다루는 두 예비교사의 실제 수업 맥락에서 여러 ‘초점의 중심(Centers of Focus)’이 나타났으며, 이는 ‘수학 활동의 본질’이라는 바탕 아래 ‘수학 과제’와 ‘집중하는 상호작용(Focusing Interaction)’의 기여를 통하여 수학적 주목하기가 구성, 조직, 변화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한 결론 논의와 함께 중등 수학 예비교사 교육에 주는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contrast ways in which two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notice mathematics in classrooms when many sources for information compete for attention. Specifically, this research demonstrates how multiple centers of focus of two prospective teachers who set similar learning objectives emerged and how they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eventually transformed by social interaction, material resources, and normed practices throughout the course of preparing, implementing, and reflecting on their own lessons. Teachers’ mathematical noticing were influenced not only by features of mathematical tasks and the nature of mathematical activities but also by ways they interact socially with their students. We finalize our study by discussing implication for the further research and teacher educatio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